SNS혁명의 신화와 실제 - 토크, 플레이, 러브의 진화
김은미 외 3인 지음 / 나남출판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스앤에스라는 용어는 소셜 서비스의 상위개념에 속한다. 소셜미디어, 마이크로 블로그, 소셜 커뮤니티 등이 유사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소셜미디어도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동양과 서양의 소셜미디어의 유형의 차이는 문화적인 차이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p. 75) 서양인들은 대체로 모르는 사람들과 대화가 자연스럽지만 한국 등 동양은 불편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장단점은 있다. 관계를 확장시키는 것은 서양식 개방형 소셜미디어가 유리하고 관계의 깊이를 확보하는 것은 동양식 폐쇄형 소셜미디어가 적합하다.  "개방형을 광장으로 폐쇄형을 로비(p.76)"로 비유하기도 한다. 

  책은 최근 한국사회 특히 정치분야에서 빈번한 쟁점을 조성하는 에스앤에스에 대해 본질적 이해를 도모하는데 유용하다. 에스앤에스의 발단이 아이러브스쿨 이었던 것을 자각할 수 있었고 '팟케스트'도 에스엔에스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점을 깨달았다. 

  인문사회만을 읽은 습관이 오래되어 과학언저리의 책에 대한 관심이 소극적인 경향이 있었다. 인문사회가 과학에 투영되고 과학이 인문에 영향을 주는 보완적 메카니즘에 대해 수용하는 자세의 필요성을 발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