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의 서재 - 그리고 그들은 누군가의 책이 되었다
한정원 지음, 전영건 사진 / 행성B(행성비)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명사를 탐방하는 대담을 책으로 기획한 것은 무척 익숙한 플롯에 해당한다.  예컨대, '한국인의 글쟁이들' 같은 책을 읽어봤다면 이 책의 본문을 예측하는 일이 전혀 불가능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선택하게 된 것은 그 밖의 서재들의 '스토리'가 궁금했기 때문이다. 책이 모이고 쌓여지는 경과와 서재에 담긴 메세지가 기대되었다.  

 15명의 서재 주인들이 등장한다. 생업은 모두가 다르다. 공통점은 책을 광적으로 좋아한다는 점이다. 대충 좋아하는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독서습관이 유년기에 형성되어 평생을 지배하게 되는 과정은 책속의 지식인들이 공유하는 경험인 것 같다. 

  평소 북디자이너에게 궁금한 점이 있었다. 디자인 할 책을 읽어 보느냐는 것이다. 훓어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본문의 숙지여부를 뜻한다. 자동차 디자이너는 그 차를 운행해 봐야 하고 핸드폰 디자이너는 그 핸드폰을 능숙하게 다루어야 비로소 적합한 디자인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본문의 의미를 온전히 이해해야 그에 맞는 책 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라 여겨왔다. 정병규 선생님의 인터뷰는 이에 대한 평소의 궁금증에 답변이 되었다. 정독을 선행한 다는 것이다. 독서를 할 수 밖에 없는 지식인의 직업이라 하겠다. 

  독서와 관련하여 의구심이 있었는데 독서의 양과 인간 품성의 상관성에 관한 문제이다. 만약 악한 사람이 책을 많이 읽으면 선해질 수 있을까. 경험적 검증이 곤란한 영역이지만 일정한 정도의  정적인 관련성은 기대해 왔다. 책에는 선한 삶을 제시하고 있는 예가 반대보다 월등히 많이 있기 때문이다.  

  박원순 변호사의 책과 자료에 대한 수집광적인 습관이 인상적이다. 장서를 천 단위를 유지하는 것만 해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사람은 그에 도달하지 못한다. 이사짐 센터에서 가장  혐오하는 물품이기도 하다. 그런데 박 변호사는 몇 만권을 단위로 구입하고 기증하고 다시 구입하는 과정을 반복했다고 한다. 지력이 재력을 만났을 때 발생하는 당연한 현상일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라는 것은 절대 아니다.

  박원순 변호사의 시민사회운동 모티브가 그가 수집한 책들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 독서와 인간선행 상관성에 중요한 하나의 증거를 발견했다고 해도 크게 틀렸다고 할 수는 없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