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사 산책 10권 - 창씨개명에서 8.15까지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코는 “광기의 역사”에서 정상인과 광인의 구별 곤란성을 예리하게 포착하였다. 광기는 상대적인 개념일 수밖에 없다는 문제제기로부터 그 역사적 고찰이 전개된다. 서구사회에서 광기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처우되어 왔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일부 신성한 것으로 여겨졌고 17세기 이후에는 죄악시 되었다. 오늘날 광기는 질병이고 치료의 대상으로 간주된다. 
 

  일제의 ‘태평양 전쟁 정서’는 광기였다. 생체실험, 위안부, 카미카제, 오키나와, 교쿠사이 등 당시 일련의 사건들에 광기를 제외한 설명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광기에 대한 일본의 평가는 현재에도 르네상스 시대방식에 머물러 있다고 보여진다. 당시 광기에 신성성을 부여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다. 야스쿠니 신사참배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광기를 부인하는 것은 더욱 심각한 광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독도문제 역시 치료를 포기한 광기의 발현으로 볼 수 있다. 
 

  본 권에서도 식민지 조선을 이해하는 자료들을 소개하고 있다. 창시개명, 징집, 학도병, 하이난 섬의 징용자 문제 등에 대해 정리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마루타와 관련된 미일간의 결탁은 양국의 현재의 윤리성까지 의심하도록 한다.
광복군의 활약에 대한 국사교과서의 기술은 수정이 필요할 것 같다. 광복군에 처해있던 상황에 대해 좀 더 솔직해야 할 것이다. 
 

  열강의 외교 테이블에서 조선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물론 관심을 받지 않은 것이 문제가 아니다. 미국, 영국 등의 국가를 막연히 우방이라고 여기는 상식은 고쳐져야 한다. 루즈벨트는 한국의 완전한 독립을 위한 기간으로 40년을 제안하였다. 일제 식민기간 정도를 고려한 발언이었을지 모를 일이다. 훗날 한미동맹은 견고해졌지만 근대사에서 만큼은 미국에게 조선은 초개에 불과했다. 
 

  본 시리즈는 여러 유형의 친일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친일 행적에 대한 당사자의 술회는 높은 목적을 위한 하급적 수단이었다는 주장이 일색을 이룬다. 예컨대 무용수 최승희는 '예술을 위한 친일'이라 주장하였다. 오늘날 이러한 입장들이 통용되는 분위기가 있는 듯한데 경계가 필요하다. 엄격하고 단호한 대응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친일을 발본색원하자는 취지가 아니다. 사실적 개요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미당 문학관에 그의 문학적 행적과 더불어 친일과 5공 찬양작품을 게시한 것은 한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객관적 사실보다 배경적 상황이  전면에 등장함으로서 실체가 호도되는 일이 었어서는 안된다. 현재를 살면서도 과거 역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은 '반복성'때문이다.  친일이 상황적 불가피성을 근거로 미화되는 것은 근대사에게 부여된 중대한 개선과제라 할 것이다. 친일의 부활 가능성을 상정하면 근대사의 관련 내용의 수정은 시급하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