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팔사략 9 - 당의 흥망
고우영 지음 / 애니북스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한국사에 등장하는 승전의 역사들은 민족 자부심을 높여주곤 한다. 일제 강점기하에 독립지사들도 외침을 이겨낸 선조의 전사들을 선례로 들며 항거하곤 했다. 수양제를 격퇴한 고구려 을지문덕장군의 전사는 자랑스런 민족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수양제의 패인을 고구려의 강병에만 두기는 어렵다. 고구려 공격 이전 낙양성 건축, 만리장성 증축, 운하건설 등 대단위 토목공사가 국력을 쇠진시켰던 것이다. 수나라 왕조의 3대 만에 몰락은 민심에 무심한 권력자이 야욕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운하건설의 대목이 눈에 걸린다.

이세민은 부패한 수나라를 대신하는 당나라를 개국한다. 황제가 되는 과정에서 친형과 동생의 살투가 마음 아프다. 당태종의 정관치지가 돋보이는 대목은 ‘위징’을 재상으로 삼는 것이라 하겠다. 위징은 당태종 암살계획을 세우던 형의 충신이었던 것이다. 능력본위의 인재선발이 국정운영에 최우선 과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사회는 과연 인재등용에 능력본위를 시행하고 있는지 생각해 볼 문제가 아니라 할 수 없다.

당 고종은 측천무후라는 무서운 아내를 취하는 대과를 저지르게 된다. 여태후 이상의 악녀로서 친아들을 독살하고 영아인 딸도 살해한다. 당 태종의 문덕황후에 극단적으로 비교된다. 부부는 닮는 다는 속담이 황제부부에게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정운영에도 부부의 심성구조가 유사하게 발현된다. 하여간 측천여황제는 인간세상에서 가능한 모든 유형의 폐륜을 종합했던 여인이었다고 보아도 좋을 듯하다.

이융기 당현 종은 초기 인재 등용을 잘했던 것 같다. 그러나 며느리 양옥환을 귀비로 정하여 비익조(암수가 한 몸), 연리지(두개 뿌리에서 한 나무로 성장)를 논하는 장면이 장차불안을 불러왔다. 양귀비와 추문을 갖던 안녹산이 난을 일으키는 불운한 국사가 발생된다. 이어서 왕선지 황소의 난으로 당나라의 역사는 정리되어 진다.

이태백과 두보가 잠시 소개되고 있다. 두보가 시를 통해 고발정신을 발휘하였다는 것이 인간적 매력을 느끼게 해주었다. 붓필이 강철보다 강하기 위해서는 힘을 다해 쓰는 자세가 필요한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