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메타버스와 미디어 - 미래방송연구회
김광호 외 지음 / 북스타(Bookstar)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3년 가장 뜨겁게 타올랐던 정보기술 분야의 트렌드라면 단연코 챗GPT를 꼽을 수 있습니다. 챗GTP 이전에도 알파고, 딥러닝, CNN, 자율주행자동차, 메타버스, NFT 등의 기술이 탄생했지만 올 해 등장한 챗GPT는 더욱 더 진화하여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로 세상을 놀라게 하고 있습니다. 이 챗GPT의 중요성은 활용범위가 거의 무제한에 가깝다는 점이라서 교육, 게임, 사회, 문화, 공연, 정치, 경제, 가정, 법률 등 모든 분야에서 쓸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 챗GPT에 대해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책은 "미디어 분야"에 대해 활용방안 및 서비스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챗GPT와 함께 또 하나의 킬러 기술인 메타버스를 들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증강현실을 넘어 새로운 세상으로 넘어갈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로서 미디어 분야에서도 활발히 이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두 가지 킬러 기술인 챗GPT와 메타버스를 융합하여 미디어 분야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이 책에서 살펴봅니다.

메타버스는 등장한지 몇 년이 지났기 때문에 어떠한 기술인지 일반인들도 어느 정도 알고 있고, 메타버스를 이용한 서비스를 한 두번 쯤은 겪어봤습니다. 메타버스 공간에서 가상의 오피스나 체험관을 만들어서 브랜드 마케팅을 하는 기업이 가장 좋은 사례입니다. 만약 미디어 분야에서의 사례를 든다면, 올림픽이나 월드컵같은 세계적인 이벤트 때나 대통령선거 등에서 메타버스 공간에 홍보세션을 만들고 방문자들에게 체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있습니다. 이렇게 기존에 메타버스는 훌륭한 보조 기술로 활용되고 있었는데 챗GPT는 메타버스와 어떠한 융합을 이뤄 미디어 분야를 혁신할 수 있을까요. 책에서는 크게 세 가지로 미디어 분야를 나누고 있는데, "교육 미디어", "공용 미디어", "1인 미디어"로 나누고 있습니다. 챗GPT의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한 교육 컨텐츠와 지식전달, 메타버스에서의 교육환경 제공은 가장 훌륭한 적용케이스가 될 것 입니다. 또한 공용미디어는 신기술을 빠르게 접목하여 지속가능한 공영미디어로 거듭나야 할 것이며 1인 미디어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전쟁을 통해 주도권의 판도가 흔들리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