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아들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65
이반 투르게네프 지음, 이항재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세대차이, 그 고루하고도 신선한 흐름 <아버지와 아들>  

 

러시아문학은 문학 수업시간에만 주구장창 들었을 뿐 사실 읽기가 쉽지 않았다. 톨스토이, 도스토 예프스키, 목로주점, 나나, 이 낯설고도 친숙한 이름들이란 기실 읽어봐야지 하고 책을 집었다가도 외우기 결코 쉽지 않은 길고 어려운 이름들에 금방 놓아버리게 했던 것이다.

자, 이번엔 큰 마음을 먹었다. 지인이 '이 책 정말 재밌어.' 후회 안할걸? 하고 건네준 책 <아버지와 아들>. '어려워보여!' 하고 밀어놓다가 슬금, 집어들었다. '이번에야말로'하는 오기. 거기다 이 책이 19세기의 가장 훌륭한 소설이라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추천사까지!

어려우면 그만 둘테다. 하는 처음의 생각과는 다르게 책장을 술술 넘어갔다. 어라, 하는 사이에 100페이지가 지나버리고, 재밌는데.. 하는 사이에 책장이 덮였다. 이게 바로 러시아문학의 매력?

'너희 젊은 것들은...' '요즘 어린 아이들은..' 이라는 말을 안 듣고 자란 세대가 있을까?
이 책에는 보수와 진보로 나뉘는 두 세대가 등장한다. 혁명이라는 말이 낯선 귀족계급의 아버지세대와 혁명에 열광하는 젊은 아들세대이다. 그들은 니힐리즘을 내세우며 모든 것들은 허무하고 의미 없는 것이라 치부한다. 반면에 아버지세대는 원칙과 관습을 내세우며 이것들 없이 사람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느냐고 말한다. 이들의 접점은 없어보인다. 모든 것을 부정하는 세대는 어떤 세대와도 양립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특히나 원칙과 전통을 중시하는 아버지세대들과는 더욱 양립할 수 없다.

그러나 단 한가지, '젊은 날의 열정적인 사랑'은 예외다. 귀족주의에 빠져 탁상공론만 일삼는 아르카디의 큰아버지 파벨과 아르카디의 친구 바자로프는 가장 극심한 대립을 보이지만, 파벨의 젊은 시절 사랑 이야기는 이후 펼쳐진 바자로프의 사랑과 묘하게 겹치며 미소를 짓게 한다. 사랑이라는 것이 원체 '~주의'같은 이성으로는 통제되지 않는 것이다보니, 본인을 니힐리스트라 칭하며 모든 것을 부정하는 바자로프에게 사랑하는 여인에 대한 통제되지 않는 감정은 너무나 당황스러운 것이다.

7~80년대 대학생이었던, 우리 아버지 세대를 생각해 본다. 군사정권에 대한 반항과 혁명의 세대. 그러나 내가 자랄 때 싸우고 반항했던 그 아버지 세대는 '보수주의'에 다름 아니라고 생각했었다. 그들도 그 이전 세대에 격하게 반항했던 세대였다는 건 생각도 하지 못했었다.
하지만 아버지 시절의 '음악'을 생각해 본다. 지난 설의 <쎄시봉 콘서트>는 특히 내게 감동이었다. 아버지들의 정서와 젊은 세대의 정서는 다르지 않은 것이다. 같은 음악을 듣고 같은 감성으로 즐길 수 있는 것이다. 감성은 이념에 우선한다. 그리고 이것이 극명하게 다름에도 같은 정서로 아버지와 아들들을 이어주는 그 매개체인 것이다.

소설 <아버지와 아들>은 만고불변의 진리인 그 세대차이와 세대를 뛰어 넘는 보편의 매커니즘을 흥미로운 이야기로 풀어낸다. 친숙하지 않은 나라, 러시아의 이야기임에도 페이지마다 웃음지으며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까닭은 <아버지와 아들>이 바로 지금 나와 아버지의 모습,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모습이기 때문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와 아들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65
이반 투르게네프 지음, 이항재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대차이, 그 고루하고도 신선한 흐름 <아버지와 아들> 

 

러시아문학은 문학 수업시간에만 주구장창 들었을 뿐 사실 읽기가 쉽지 않았다. 톨스토이, 도스토 예프스키, 목로주점, 나나, 이 낯설고도 친숙한 이름들이란 기실 읽어봐야지 하고 책을 집었다가도 외우기 결코 쉽지 않은 길고 어려운 이름들에 금방 놓아버리게 했던 것이다.

자, 이번엔 큰 마음을 먹었다. 지인이 '이 책 정말 재밌어.' 후회 안할걸? 하고 건네준 책 <아버지와 아들>. '어려워보여!' 하고 밀어놓다가 슬금, 집어들었다. '이번에야말로'하는 오기. 거기다 이 책이 19세기의 가장 훌륭한 소설이라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추천사까지!

어려우면 그만 둘테다. 하는 처음의 생각과는 다르게 책장을 술술 넘어갔다. 어라, 하는 사이에 100페이지가 지나버리고, 재밌는데.. 하는 사이에 책장이 덮였다. 이게 바로 러시아문학의 매력?

'너희 젊은 것들은...' '요즘 어린 아이들은..' 이라는 말을 안 듣고 자란 세대가 있을까?
이 책에는 보수와 진보로 나뉘는 두 세대가 등장한다. 혁명이라는 말이 낯선 귀족계급의 아버지세대와 혁명에 열광하는 젊은 아들세대이다. 그들은 니힐리즘을 내세우며 모든 것들은 허무하고 의미 없는 것이라 치부한다. 반면에 아버지세대는 원칙과 관습을 내세우며 이것들 없이 사람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느냐고 말한다. 이들의 접점은 없어보인다. 모든 것을 부정하는 세대는 어떤 세대와도 양립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특히나 원칙과 전통을 중시하는 아버지세대들과는 더욱 양립할 수 없다.

그러나 단 한가지, '젊은 날의 열정적인 사랑'은 예외다. 귀족주의에 빠져 탁상공론만 일삼는 아르카디의 큰아버지 파벨과 아르카디의 친구 바자로프는 가장 극심한 대립을 보이지만, 파벨의 젊은 시절 사랑 이야기는 이후 펼쳐진 바자로프의 사랑과 묘하게 겹치며 미소를 짓게 한다. 사랑이라는 것이 원체 '~주의'같은 이성으로는 통제되지 않는 것이다보니, 본인을 니힐리스트라 칭하며 모든 것을 부정하는 바자로프에게 사랑하는 여인에 대한 통제되지 않는 감정은 너무나 당황스러운 것이다.

7~80년대 대학생이었던, 우리 아버지 세대를 생각해 본다. 군사정권에 대한 반항과 혁명의 세대. 그러나 내가 자랄 때 싸우고 반항했던 그 아버지 세대는 '보수주의'에 다름 아니라고 생각했었다. 그들도 그 이전 세대에 격하게 반항했던 세대였다는 건 생각도 하지 못했었다.
하지만 아버지 시절의 '음악'을 생각해 본다. 지난 설의 <쎄시봉 콘서트>는 특히 내게 감동이었다. 아버지들의 정서와 젊은 세대의 정서는 다르지 않은 것이다. 같은 음악을 듣고 같은 감성으로 즐길 수 있는 것이다. 감성은 이념에 우선한다. 그리고 이것이 극명하게 다름에도 같은 정서로 아버지와 아들들을 이어주는 그 매개체인 것이다.

소설 <아버지와 아들>은 만고불변의 진리인 그 세대차이와 세대를 뛰어 넘는 보편의 매커니즘을 흥미로운 이야기로 풀어낸다. 친숙하지 않은 나라, 러시아의 이야기임에도 페이지마다 웃음지으며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까닭은 <아버지와 아들>이 바로 지금 나와 아버지의 모습,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모습이기 때문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리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권미선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를 설레게 하는 단 하나의 책. 친구들에게 3권 째 선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터 세바스찬과 검둥이 마술사
대니얼 월리스 지음, 엄일녀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장 좋아하는 영화가 뭐냐고 묻는다면 망설이지도 않고 <빅피쉬>라고 대답하는 나에게, <빅피쉬>원작자의 새 책이 출간된다는 소식이 들렸다. 어찌 이를 놓칠소냐 하고 책을 구했고, 책을 손에 든 채 다 읽어버렸다.

역시나였다.

빅피쉬에서 보여주었던 그 환상적임과 재기발랄함을 그대로 가져왔고, 기억의 불완전성에 대한 이야기 또한 그대로 가져왔지만, 이건 조금 더 슬픈 운명의 장난을 다루고 있다.

하나의 기억은 여러 가지 이야길 만들어낸다. 하나의 사건이 기억되고 이야기될 때의 불완전성. 하나의 진실은 존재하겠지만 그 진실만이 '옳다고' 말할 수 있을까.
주인공인 검둥이 마술사는 그의 다사다난했던 인생 이야길 동료들에게 들려준다. 그가 겪어온 인생은 결코 보통 사람의 인생의 범주는 아니었고, 특별함과 함께 기이함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야기의 초반, 그의 한 동료는 이야기를 적당히 줄이고, 늘리고, 변형하며 검둥이 마술사를 괴롭히는 아이들에게 들려준다. 독자들은 이 이야기를 통해 주인공의 인생을 재구성할 수밖에 없다. 검둥이 마술사가 사라진 뒤, 그가 머무르던 차이니즈서커스단의 단장은 그에게 들은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겼고, 그 전문은 독자들에게 공개된다. 그러나 어떤 부분은 불에 탔고, 어떤 부분은 물에 젖었으며, 어떤 부분은 잉크가 번졌다. 조금 더 자세해진 검둥이 마술사의 이야기를 독자들은 재구성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Q정전 문학동네 루쉰 판화 작품집
루쉰 지음, 이욱연 옮김, 자오옌녠 판화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 중국의 대표 얼굴 -아큐정전

루쉰의 대표작인 <아큐정전>에서 그는 근대 중국인의 대표적 얼굴을 찾아냈다.
아큐는 무엇 하나 잘난 것 없이 약한 자에겐 강하고 강한자에겐 약한 사람이다.
강한 자에게 매섭게 혼이 나더라도 속으로는 자신이 승리했다고,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자신이 처한 상황이 좋지 않기에 변화를 바라고 있고, 개혁의 소식에 미소짓는다. 모든 것이 자신에게 유리하게 바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무지몽매하고 자기 것을 우악스럽게 지키려 하는 사람. 약간 과장되어있으니 지금의 현실에서 결코 찾아볼 수 없는 캐릭터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자기 현실을 똑바로 보지 않고 옛 영화만을 쫓는 것이다. 그 날카로운 풍자에서 자유로운 사람이 있을까? 우리 모두는 조금씩이라도 자기합리화를 하는 것이 아닌가. 공허한 자기위로는 아큐정전 처럼 객관적으로 보게 되면 우습고 민망하기 짝이 없다. 내가 지금껏 갖고 있었던 정신승리법을 생각해 본다. 현실을 직시하고 변화로 들어갈 것.

근대 중국인들에게만 요구되는 방침은 아닐 것이다.
웃음과 해학, 풍자가 가득한 이야기 속에서 촌철살인과도 같은 메세지를 보았다. 
 

+자오옌롄의 판화 또한 인상적이다. 마치 고대인들이 남겨놓은 진리의 그림을 보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