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아들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65
이반 투르게네프 지음, 이항재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세대차이, 그 고루하고도 신선한 흐름 <아버지와 아들>  

 

러시아문학은 문학 수업시간에만 주구장창 들었을 뿐 사실 읽기가 쉽지 않았다. 톨스토이, 도스토 예프스키, 목로주점, 나나, 이 낯설고도 친숙한 이름들이란 기실 읽어봐야지 하고 책을 집었다가도 외우기 결코 쉽지 않은 길고 어려운 이름들에 금방 놓아버리게 했던 것이다.

자, 이번엔 큰 마음을 먹었다. 지인이 '이 책 정말 재밌어.' 후회 안할걸? 하고 건네준 책 <아버지와 아들>. '어려워보여!' 하고 밀어놓다가 슬금, 집어들었다. '이번에야말로'하는 오기. 거기다 이 책이 19세기의 가장 훌륭한 소설이라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추천사까지!

어려우면 그만 둘테다. 하는 처음의 생각과는 다르게 책장을 술술 넘어갔다. 어라, 하는 사이에 100페이지가 지나버리고, 재밌는데.. 하는 사이에 책장이 덮였다. 이게 바로 러시아문학의 매력?

'너희 젊은 것들은...' '요즘 어린 아이들은..' 이라는 말을 안 듣고 자란 세대가 있을까?
이 책에는 보수와 진보로 나뉘는 두 세대가 등장한다. 혁명이라는 말이 낯선 귀족계급의 아버지세대와 혁명에 열광하는 젊은 아들세대이다. 그들은 니힐리즘을 내세우며 모든 것들은 허무하고 의미 없는 것이라 치부한다. 반면에 아버지세대는 원칙과 관습을 내세우며 이것들 없이 사람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느냐고 말한다. 이들의 접점은 없어보인다. 모든 것을 부정하는 세대는 어떤 세대와도 양립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특히나 원칙과 전통을 중시하는 아버지세대들과는 더욱 양립할 수 없다.

그러나 단 한가지, '젊은 날의 열정적인 사랑'은 예외다. 귀족주의에 빠져 탁상공론만 일삼는 아르카디의 큰아버지 파벨과 아르카디의 친구 바자로프는 가장 극심한 대립을 보이지만, 파벨의 젊은 시절 사랑 이야기는 이후 펼쳐진 바자로프의 사랑과 묘하게 겹치며 미소를 짓게 한다. 사랑이라는 것이 원체 '~주의'같은 이성으로는 통제되지 않는 것이다보니, 본인을 니힐리스트라 칭하며 모든 것을 부정하는 바자로프에게 사랑하는 여인에 대한 통제되지 않는 감정은 너무나 당황스러운 것이다.

7~80년대 대학생이었던, 우리 아버지 세대를 생각해 본다. 군사정권에 대한 반항과 혁명의 세대. 그러나 내가 자랄 때 싸우고 반항했던 그 아버지 세대는 '보수주의'에 다름 아니라고 생각했었다. 그들도 그 이전 세대에 격하게 반항했던 세대였다는 건 생각도 하지 못했었다.
하지만 아버지 시절의 '음악'을 생각해 본다. 지난 설의 <쎄시봉 콘서트>는 특히 내게 감동이었다. 아버지들의 정서와 젊은 세대의 정서는 다르지 않은 것이다. 같은 음악을 듣고 같은 감성으로 즐길 수 있는 것이다. 감성은 이념에 우선한다. 그리고 이것이 극명하게 다름에도 같은 정서로 아버지와 아들들을 이어주는 그 매개체인 것이다.

소설 <아버지와 아들>은 만고불변의 진리인 그 세대차이와 세대를 뛰어 넘는 보편의 매커니즘을 흥미로운 이야기로 풀어낸다. 친숙하지 않은 나라, 러시아의 이야기임에도 페이지마다 웃음지으며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까닭은 <아버지와 아들>이 바로 지금 나와 아버지의 모습,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모습이기 때문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