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하고 와일드한 백일몽 무라카미 하루키 에세이 걸작선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난주 옮김, 안자이 미즈마루 그림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Q84의 광풍이 조금은 가시고 나서,
새롭게 다시 나온 하루키 에세이 걸작선을 만났다.

 

아, 하루키라는 사람은 이런 사람이었지 하고, 1Q84의 이미지로만 꼭꼭 묶여있던 무라카미 하루키를 해제한 느낌이 들었다.

 

야구장에서 맥주를 마시고, 남이 무심코 한 말에 소심하게 한번 더 생각하며, 가던 이발소만 주구 장창 몇 년을 다니는 사람. 약간은 소시민같지만 약간은 예술가같은 그런 있는 그대로의 하루키를 다시 만날 수 있었다.

 

원서의 이미지를 그대로 살린 미즈마루의 삽화가 글의 분위기를 조금 더 북돋아준다. 여름의 내 기분에 딱 맞는 책. 은행이든 도서관이든, 에어컨 바람 나오는 데서 하루키 에세이를 읽는 것. 그것이 최고의 휴가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쿨하고 와일드한 백일몽 무라카미 하루키 에세이 걸작선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난주 옮김, 안자이 미즈마루 그림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기다리고 있었다!!!!! 하루키 다운 표지와 하루키 다운 삽화! 5권도 적다, 더 내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의 그림자 1 잊힌 책들의 묘지 4부작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 지음, 정동섭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실상부하게 멈출 수 없는 소설. 한 숨에 읽히는 소설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딩 프라미스 - 아빠와 함께한 3218일간의 독서 마라톤
앨리스 오즈마 지음, 이은선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빠와 함께하는 독서 - 리딩 프라미스

 

예전에 읽은 어떤 책에서,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면 두뇌 발달속도는 상상도 못하게 빨라진다고 했다. 한창 호기심이 왕성할 나이라 그럴까, 언어를 받아들이는 속도가 책의 내용과 상호작용을 하며 빨라지는 것이다.

 

이 책은 문득 책을 같이 읽자고 (읽어주겠다는 것이 아니다) 약속한 아이와 아빠의 이야기다.
책을 좋아하는 도서관 사서 아빠는 항상 아이와 같이 읽을 책을 고른다. 절대적으로 아이가 원하는 책으로. 내 어릴적이 생각난다. 꽂혀있는 수 많은 책들 중에서 어떤 것을 고를까 즐거이 고민하던 모습. 그 설렘을 책 속의 아버지는 알았던가보다.

 

100일동안 책을 읽자고 한 처음의 약속이 지켜진 날, 둘은 될수 있는 한 오래 이 약속을 지켜나가기로 한다. 그리고는 3000일이 지나 아이가 대학에 진학해 집을 떠날 때까지 독서 마라톤은 계속된다.

 

저자이자 주인공인 앨리스에게 책은, 그녀가 아버지와 진심어리고 즐거운 대화를 나누게 되는 수단일 뿐 아니라 그녀가 자라며 겪게 되는 수 많은 난관과 문제들에서 답을 얻을 수 있는 훌륭한 선생님이다. 그저 성적 때문이 아니라, 강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하나의 즐거운 놀이로서의 책읽기. 그러한 책읽기여야만 어른이 되어서도 책과 친구가 되며,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거나 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읽으면서 내내 내가 되어야 할 부모상을 생각하게 되고, 내가 읽어온 책들의 목록을 떠올리게 된다. 책을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이 그럴 것이다. 사랑했던 책에서 특히나 더 사랑했던 부분을 떠올리게 한다.

책읽는 부모와 책읽는 아이, 그리고 책읽는 나에게 참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르센 뤼팽의 마지막 사랑
모리스 르블랑 지음, 성귀수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 낭만괴도-아르센 뤼팽의 결말

 

인기있는 드라마가 끝날 적이 되면,
사람들은 이리저리 결말을 예측하게 된다.

 

마지막 방송 후에도 '0000 결말'의 검색어가 상위에 랭크되는 것을 보면,
아마도 정작 시리즈의 세부적 내용보다는 결말이 어땠는가가 그 작품의 이미지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 같기도 하다.

 

아르센 뤼팽의 마지막 사랑은 70년이 지나 공개된 뤼팽 시리즈의 결말이다.
사정이 이러하니 뤼팽은 '언제적 뤼팽'이 되어있고, 이 결말이 궁금한 사람이 그렇게 많을까 싶기도 하다.

 

그렇지만 많은 시리즈물이 그렇듯이, 뤼팽 또한 시리즈의 일부 뿐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이야기로도 기능하는 만큼 이 소설도 이야기 자체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엔 충분해보인다.

수많은 얼굴과, 이름과, 재능을 가진, 거기다가 정의감도 투철한 시대의 마지막 낭만가, 야인. 그의 결말과 마지막 사랑이 있기까지는 도대체 어떤 사건이 있었을까.

 

이야기는 복잡하지 않다. 지금, 현대를 다룬 미스터리처럼 가슴아픈 치정이나, 사회적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다. 선인과 악인은 명확하고, 결말은 통쾌하다.

 

그래서 나는 이 이야기가 다른 소설보다 조금 더 마음에 든다.
복잡하고 오묘한, 싫은지 좋은지 모르겠는 사람들 틈에서 어떤 면을 봐도 호감이 가는 뤼팽을 직접 만난 기분이다. 그는 아주 명쾌하고 낭만적이다.

 

단순하고 통쾌한 미덕. 복잡한 머리를 리프레시 하기에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