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민지 불온열전 - 미친 생각이 뱃속에서 나온다
정병욱 지음 / 역사비평사 / 2013년 7월
평점 :
식민지시대로 떠나는 히치하이킹을 하고 싶다면, 감히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고려대 정병욱 선생이 내놓은 ‘식민지 불온열전’은 어디로 튈지 모르는 자유여행 안내서와 같은 역사책이다.
우리는 흔히 일제시대에 대한 시대상을 ‘지배’와 ‘저항’, ‘친일’과 ‘항일’, ‘근대’와 ‘폭력’ 등의 대립항(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대립항)들로 그 시대를 떠올린다. 하지만 사람의 삶이란 것이 그렇게 딱 갈라진 지점 속에서만 살아올 수 있었을까? 정병욱 선생의 ‘불온열전’은 바로 그 사이에 위치했던 식민지의 실제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다.
‘불온열전’이라고 이름붙여진 이 책에서 다루는 대상은 독립을 꿈꾼 경성유학생, 사랑방에서 불온한 수다를 떨었던 자소작농, 중국인에 대해 폭력을 행사했던 신설리패, 졸업식날 불온한 낙서를 남긴 어느 시골학교 소학생들이다. 그들은 거대한 역사 속에 크게 이름을 남긴 적 없었던 그냥 나 자신, 혹은 내 옆의 누군가일법한 한 사람이다. 이들의 삶을 드러내는 것을 통해서 우리는 식민지시대를 보다 가깝게 느끼고 상상할 수 있으며, 현재의 우리 삶에 대해서도 다시 상상할 수 있게 되는건 아닐까?
책 겉표지에 적힌 ‘미친 생각이 뱃속에서 나온다’는 자소작농 김영배의 일갈은, ‘불온’이란 것이 어디로부터 나오는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머리’로부터 나오지 않고 ‘뱃속’에서 나온다는건, 무언가 ‘이성’적이라기보다는 보다 ‘감각’적으로, ‘즉흥’적으로, 하지만 그것이 자율신경적으로 발산된다는 느낌을 갖게 만든다. 머리로 이상이 있다고 알아채기 이전에 몸에서는 감각적으로 식민지시대의 지배와의 불화를 느끼고 반응했던 것은 아닐까? ‘불온’하게되는 것은 어떤 이성적 판단에 기초한 행동이라기보다는, 견딜 수 없는, 감정적인, 그래서 현대의 ‘근대적’ 사회에서는 주저하지만, 하지만 나 자신에게는 보다 솔직하고 정직해, 실제로는 더 제대로된 신체의 반응일지도 모른다.
이 책에서의 중요한 키워드 ‘불온’을 저자는 통치권력이나 기존 질서에 순응하지 않는 태도나 기질이라고 설명한다. 그러한 태도는 통치권력이나 기존 질서를 조금이나마 깨고 나올 수 있는, 미래를 위한 자산인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다뤄진 주인공들 중 대다수는 분단과 전쟁이라는 역사의 거대한 파도 속에서 ‘불온’을 상실하거나, 죽음으로 치닫았다. 이를 두고 저자는 분단과 전쟁이 우리 사회의 불온, 미래를 제거하는 과정이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그 결과로 불온없는 사회에서 독재는 시작된다고 말한다.
이러한 저자의 ‘불온’에 대한 분석은 현재 우리가 ‘불온’을 어떻게 대하고 자신의 태도를 어떻게 삼아야할지에 대해서 고민하게 만든다. 과거의 불온에 안주하기 보다는 현재 어떠한 불온을 만들어낼지에 대해 고민하라고 살며시 권하고 있다. 또다시 촛불이 빛나가는 2013년의 여름날, 통치권력이나 기존 질서들이 우리의 삶을 ‘불온’이라고 이름붙일지라도, 실은 우리 사회의 미래이자, 새로운 혁신의 계기는 그 ‘불온’ 속에 깃들어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