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 - 고종 즉위부터 임시정부 수립까지
김태웅.김대호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는 네이버 플랫폼을 통해 소개되었던 팟캐스트 <역사탐구생활>의 내용을 정리해 출판한 책이다. 전문 역사학자가 팟캐스트 방송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출판에까지 이르렀다는 점에서 요즘 출판시스템의 한 측면을 적극 활용한 모습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애초에 딱딱한 글 형식이 아니라 팟캐스트 오디오 방식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보니 더욱 쉽게 내용들이 다가온다는 점이 이 책의 큰 장점일 것이다.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는 제목 그대로 29개의 질문으로 한국 근대사를 훑고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말하는 한국근대사의 시간적 범위는 조금 특이하다. 1863년 고종 즉위부터 1919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이르기까지 50여년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시간적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는 역사를 어떻게 볼지에 대한 관점 그 자체를 드러내는 일이다. 1863년 고종 즉위부터 1910년 경술국치까지 다루면 조선은 왜 멸망했는가?’라는 주제에 자연스럽게 천착하게 된다는 저자들의 문제의식에 일정정도 동의한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1863년 고종 즉위부터 한국근대사의 범위로 다루는 문제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느낀다. 1863년부터를 근대사로 파악하면 고종 즉위와 흥선대원군의 집권시기를 근대화라는 당위성 속에서 역사를 해석하게 되는 우를 범하게 된다. 오히려 이 시기의 통치는 조선왕실의 권위를 되살리고 정조이전의 유교적 통치를 부활시키는 것이었다. 물론 이전에 정조의 통치마저도 근대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역사서술이 난무했었기에 무슨 차이냐고 물을지도 모르겠지만, ‘근대를 피할 수 없는 흐름이자 당위로서 바라보게 만든다는 데에는 분명한 문제가 있어 보인다.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은 모든 챕터들을 질문으로 시작해 한국근대사의 주요 토픽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주요 이슈들을 쉽게 접하고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학계의 주요 논쟁지점들을 소개하고 그 추이에 대해서도 간략한 언급을 하고 있는 점에서 개설적이면서도 일정한 전문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독자들의 호기심을 더욱 높여주는 측면이 있다. 그런 책의 특징을 보여주듯, 부록으로 참고문헌 목록도 길게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조금은 아쉬운 점도 있다. 각 챕터별로 참고문헌을 나누어 소개하거나 논쟁별로 주요 논저를 소개해주는 형태를 가져갔다면 독자들에게 좀더 친절한 책이 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각 챕터가 끝날 때마다 등장한 이것만은 꼭!’ 보다도 이런 정리가 더 필요했다는 생각마저도 든다.

 

챕터의 내용들은 정치사를 중심으로 서술되었지만 시대별 사회사, 문화사의 중요한 논의들도 빼먹지 않고 훑고 가고 있다. 그러나 디테일한 부분에서는 조금 아쉽게도 오류들이 보인다. 마지막 29번째 질문, ‘대한민국은 언제, 어떻게 탄생했는가?’에서는 일본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가짜로 몰기 위해 가정부라는 표현을 사용했다고 하지만, 3.1운동 당시 격문에 가정부가 곧 수립될 것이라는 격문이 서울 시내에 뿌려지기도 했던만큼, ‘가정부는 거짓이나 가짜가 아니라 임시라는 뜻으로 해석하는게 옳다. 그리고 대한국민의회에서 손병희를 수반으로 한 별도의 임시정부를 수립했다는 설명은 최근까지도 교과서에 실려있지만 이미 1980년대 반병률 선생의 대한국민의회 연구에서 논박된 사실무근의 이야기다. 30년도 더 지난 오류를 전문 역사학자의 책에서까지 다시 본다는 점에서는 너무 아쉬움이 크다.

 

이런 자잘한 아쉬움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은 쉽고 편하게 한국 근대사를 접하게 해준다. 이후에도 이런 작업이 다른 시대사, 다른 주제사로 확장되어 계속해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