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듬 - 부정적 생각 싹 날려버리는 도구 왓칭 시리즈
김상운 지음 / 정신세계사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맞장구'와 '상상력'의 힘

김상운/정신세계사

원하는 주파수(리듬)에 맞춰라

와인가게에서 독일음악 틀어놓으면 독일산 와인이 잘 팔리고 손님 말에 리듬(맞장구)을 맞춰주면 팁을 두 배로 받는단다. 왜일까.

우주는 물질이 아니라 음악으로 만들어져 있다”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하이젠베르크

나의 99.9999% 몸 밖에 있고 0.0001 퍼센트만 몸 안에 있다양자물리학자 울프 박사

리듬, 진동이 물질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실제 영국의 한 다리 위에서 통일된 구보를 하며 지나가던 군인들로 다리가 무너지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 원하는 라디오를 들으려면 주파수를 맞춰야 하듯, 인생도 원하는 바대로 주파수를 맞춰야 한다. 주파수를 여기서는 리듬이라고 표현하는 듯. 우주, 심지어 생각도 진동에 반응하고 이끌려 다닌다는 것. 누군가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나의 부정적 생각, 그리고 꿈을 이루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한다. 책 <시크릿>과 위빠사나, 마음챙김의 이론과 비슷한 내용을 담겨있다. 다소 산만한 감은 있지만, 어두운 생각에 휩싸여 빠져나오지 못하는 사람들. 인간관계의 갈등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이 그 이유를 파악할 수 있을 듯 하다. 특히, 일상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부정적 일에 적용한 풍부한 성공사례가 가장 큰 장점이다.

생각도 물질이다

생각은 물결처럼 퍼져나가는 에너지 덩어리다. 막으면 휩쓸리고, 비켜서면 흘러간다.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을 때는 상대의 입장에서 상대의 감정을 살피고 맞장구를 쳐준다.(~구나) YES를 이끌어 내기위해 YES가 나올 수밖에 없는 질문을 초반에 던져 원하는 YES를 얻을 수도 있고 상대방에게 두 가지 선택사항을 줘서 내가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기도 하다.

힘 빠지는 단어를 보면 실제로 몸의 힘이 빠진다.” 존 바그 박사

꼬리에 꼬리를 무는 어두운 생각 털어내기

생존을 판단하는 아미그달라(편도체)는 생존이 유일한 관심사다. 0.01초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인지 불리한 상황인지 판단하며 대부분의 원시적 감정인 분노, 증오, 슬픔, 절망, 욕망이 이 편도체에서 나오는데 정신연령 5세로 성장을 멈춘다고 한다. 부정적 생각은 바로 이런 어린아이가 생긴 것, 그러니 달래서 잠재워야 한다. 부정적 생각의 원인, 생존의 두려움을 파악하고 해소해줘야 한다. 막무가내로 화내는 상대를 만난 경우, 그의 입장에서 마음을 이해해주면 부정적 생각이 털려나온다. 나의 경우도 마찬가지. 부정적 생각의 원인을 자세히 쪼깨서 봐 부서지게 할 수도 있다.

글쓰기도 도움이 된다. 감정을 적어가다보면 부정적 원인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게 되는 듯. 그게 근거없는 것일 수도 있고 원인만 알게되어도 사라진다고.

선명한 이미지 상상이, 현실을 이끈다

현실로 끌어당기는 것은 '상상'이 먼저 본다 - 아인슈타인

목소리를 높여 얘기하다 보면 자연히 화가 난다.

나는 전투조종사 라는 이미지만 떠올려도 시력이 좋아졌다

이미지가 세부적이고 선명할수록 그 이미지가 현실로 나타날 확률이 높단다. 거울상자 치료법은 그 원리를 이용한 것인데 마비된 한쪽 손의 기능을 정상손이 움직이는 거울을 비춰보게 함으로서 마비된 손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법이다.

목표를 자세히 바라볼수록 성공할 확률은 극적으로 높아진다. 마약중독자들에게 '오늘 오후 5시까지 간단한 이력서를 써서 제출해 주세요'하기 보다는 여기에다 '이력서를 언제, 어디서 쓸 건지도 알려주세요'라고 덧붙이기만해도 제출율을 80%나 높였다고. 자세히 상상하는 것이 현실을 이끈다.

무조건적인 낙천성보다 난관 자세히, 객관적으로 보는 것 필요

문제가 이미 풀렸다고 상상한 뒤, 현실의 부정적인 면도 생각한다. 무조건 부정적 생각을 덮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다. 관찰자의 눈으로 선명하게 바라보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부정적 생각이다. 목표 달성됐다고 상상한 뒤, 걸림돌은 없는지 자세히 살펴보면 현실로 나타난다. 털어내는 방법은 덮지 않고 자세히 보는 것이다. 내 안 실패를 끌어당기는 부정적 생각의 원인을 생각하고 꿈을 이뤄진 순간을 자세히 본다. 그리고 다시 꿈을 막고 있는 걸림돌을 극복하는 장면을 상상한다. 이것은 '정신적 대조법'으로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을 되풀이 대조시킴으로써 부정을 걸려내고 긍정을 낳게하는 방법이다.

또한, 목표를 쉽게 생각하는 사람은 성공이 어려웠단다. 난관을 자세히 보지 않고 마음 속에 짓눌러놓았기 때문이라고. 특히, 자존감 낮은 사람은 긍정적 강요가 어두운 생각 더 반발시킨다고 한다.

감정과 생각에 저항하지 말고 흘러라(맞춰주는 것, 관찰하는 것이 흘러가는 것)

아픔을 주체하지 못하고 주저앉고 싶을 땐 저항 멈추고 주저앉아 아픔이 온몸을 타고 마음껏 흘러가도록 길을 비켜주는 것도 필요하다. 모든 감정과 생각은 흘러가는 물결이다. 저항하면 휩쓸리고 저항치 않고 물결처럼 리듬타고 흐르면 사라지는 오묘한 이치를 가졌다.

실제 사례를 통해 순간의 분노와 화, 그리고 내 입장에서만 바라보는 사고방식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를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