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는 왜 혼자인 여자가 많을까? - 스스로 행복해지는 심리 치유 에세이
플로렌스 포크 지음, 최정인 옮김 / 푸른숲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서른의 싱글녀, 잘 살아가면서도 늘 '어떻게 살아가야하나' 하는 질문을 떨쳐버릴 수 없었습니다. 어느 순간, 혼자서도 행복한 사람만이 사랑도 제대로 할 수 있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어디서 어떻게 시작해야하는지 알 수 없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책읽는 여자, 영혼울림의 멘토입니다.
오늘 제가 들려드릴 책은 '미술관에는 왜 혼자인 여자가 많을까'입니다. 

심리치유에세이인 이 책은, 제가 읽어본 다른 어느 심리책보다 단연 돋보이는 책입니다. 
이 책을 덮고나니, 삶에 조금 더 깊게 뿌리내린 듯한 느낌입니다.
너무 좋은 책인지라 두명의 지인들에게 선물한 이 책, 모든 여성들에게 적극 추천합니다. 

혼자되었거나 혼자 살아가거나, 사랑하는 애인이 있거나 상관은 없습니다.
사랑하는 사람 곁에서도 뭔가 늘 채워지지 않는다고 느끼는 분
이제 다르게 살고 싶다고 생각하는 분

복잡한 심정을 드러내는 나 자신에 대해 좀 더 잘 알고싶은 분
그런 자신을 사랑하고자하는 분, 그래서 행복해지고자 하는 여자를 위한
그런 여자가 행복해지기 위해 내딛어야할 첫발걸음이 바로 이 책이 될 것입니다. 

'혼자 사는 여자란 무엇을 의미하며, 혼자서도 잘 살 수 있는 방법은 무얼까?' 

20년간 심리치료사로 일한 플로렌스 포크는 자신의 이야기부터, 내담자의 이야기, 버지니아 울프, 라이어, 소설과 영화에 나오는 여자 주인공의 이야기를 통해 심리, 사회, 문화, 영적으로까지 '여자'들의 고민을 해석해 봅니다. 다양한 사례를 포함하고 있기에 어느 장면에서는 마치 내 이야기마냥 흡입력있게 빨려들어갑니다. 그리고 많은 여성들이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 안도합니다. 그렇게 이야기는 내것이 되어갑니다. 

이 책은 참 체계적입니다. 총 9장으로 이뤄져있는데 단계별로 읽어가면 치유되면서 어느덧 스스로 일어서고 있는 나를 느낄 수 있습니다. 

제1장 혼자인 여자, 나는 누군일까 - 혼자를 실패와 동의어쯤으로 생각하게 하는 사회와 무의식, 그런 여성들을 위해 이 책을 쓴 목적을 밝혔습니다.

제2장 미술관에는 왜 혼자인 여자가 많을까 - 나 자신에게서 멀어지는 문화 속에서, 혼자란 건 삶의 방식이며 혼자인 것과 외로움은 다르다는 차이를 말해줍니다. 우리가 누려야할 '고독'도 등장합니다.

제3장 여자는 왜 혼자있는 걸 두려워할까 - 독신녀 그 말에 담긴 감춰진 수치심을 대중매체 등의 영향을 통해 알아봅니다. 

제4장 잃어버린 비밀의 공간을 찾아서 - 평범한 날 찾아오는 '내가 나라는 사실' 삐삐의 말을 통해 그 방법을 찾아보세요.

제5장 타인과 관계맺기 - 제가 가장 인상깊게 읽었던 장입니다. 세대에 따라 거울을 인식하는 방법이 다르다는 것과 엄마와 관계, 그림자와 같은 아빠와 관계, 너무도 중요한 친구와의 관계를 통찰력있게 들려줍니다.

제6장 혼자인 것과 친해지기 - 상실은 우리로 하여 자기 자신에게 돌아가게 한다는 말이 모든것의 출발입니다.

봉오리에는 모든 것에 있다/꽃을 피우지 못한 것일지라도/모든 것들은 안으로부터 꽃을 피운다/자기축복으로

제7장 밖으로 나가기 - 경험을 통해 미래를 상상합니다. 그러니, 이제 경험의 세계를 넓히세요. 우리를 두렵게 하는 건 미래가 아니라 변화에 대한 용기없음입니다.

제8장 고독을 즐기는 법 - 신성에 관한 이야기가 언급되며 이 책에서 영적인 부분의 이야기를 다룬 장입니다. 마음만 먹으로 저절로 된다는 그 어떤 믿음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제9장 마침내 자신을 찾다 - 그녀의 내담자였던 사람들이 이후 어떻게 삶을 선택하여 살아가는지 보여줍니다. 내가 선택한 가족 '친구'와 롤모델이 될 수 있는 많은 여성들을 이야기해 줍니다.  

옛날 옛날에...나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런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 걸까...
옛날 옛날에.. 나는 내 삶에 내가 만들어낸 이야기를 하나 집어 넣는다.
옛날 옛날에.. 내가 만들어낸 이야기가 부서지기 시작한다.  - 240p 

여러분, 여러분의 고독과 마주마십시오. 고독은 자신과 만나는 최상의 길이며, 스스로 행복해지기 위해 꼭 통과해야 할 문입니다. 

미술관에서 홀로인 그녀들을 만나면, 반갑게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혼자서도 행복한 여자, 고독을 즐길줄 아는 창조적인 그녀들을 만나면 행복한 미소를 지어주세요. 그럼 우리 미술관에서 만나요!

* 좋은 책 내주신, <푸른숲>과 자연스런 번역해주신 최정인님께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 공간을 뛰어넘는 공감할 수 있는 여성들을 위해 책 쓴 플로렌스 포크님께 가장 감사들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