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진에 힘을 주는 101가지 101가지 시리즈
곽윤섭 지음, 김경신 그림 / 동녘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을 배우고 싶었다

여느 때와 다름없이 책을 찾았다.

물반 고기반.

글보다 사진의 양이 더 많은 책에 눈은 즐거웠지만, 남는 게 없었다.

아니, '구도'는 약간 흉내낼 수 있었던 것 같다.

'사진은 지식'이 아니라 기술인가'하는 생각을 했다.

'내 사진에 힘을 주는 101가지'를 만난 건 뜻밖의 행운  

 

사진 관련 책에 사진 한장 없는, 오히려 그림과 짧은 글이 들어간 책이라니

'내 사진에 힘을 주는 101가지' 그 배짱이 궁금했다

책을 받아든 순간, 작고 야무진 것이 한손에 딱 들어오는 기분.

캐론EOS 5D 바디를 손으로 잡을 때의 그 안성맞춤 느낌이랄까.

책을 펼치니 왼손에 아이를 감싸안은 느낌

책이란 것을 손에 집어든 것만으로도 흐뭇한 이런 느낌은 처음이다.

책의 사이즈, 레이아웃 편집 등이 감성적으로 다가온 순간이었다.  


겸손한 저자의 의미있는 작업

프롤로그에서 저자는 '내가..사진의 정통하다고 말할 순 없다. 대신 생활사진가들에게 쉽게 이야기해 주는 방법 정도는 알게 된 것 같다' 라며 '팁을 뛰어넘는 개념, 이해할 수 있는 원리'를 얘기하고자하는 책의 목적을 밝혔다. 겸손한 작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는 사진을 찍기 위한 촬영 모드에 관한 설명, 조리개 ISO 등의 기본 개념부터

사진사의 발달에 관한 주요인물, 그리고 그의 작품 에피소드, 주요 사진첩에 대한 정보, 좋은 사진작가가 되기 위한 방법(좋은 작가의 사진첩을 많이 본다는지), 등이 소중히 담겨있다.

또한 프롤로그에서 느꼈졌던 그의 겸손함을 증명이라도 한듯

여느 책에서는 없는 '예의'에 관한 사항이 눈에 띈다.

사진을 찍는 사람, 찍히는 사람으로서 지켜야할 예의, 다른 사진작가에게 지켜야할 예의 등  


간결한 글은 주목도를 높였고 그림은 이해를 도왔다

왼쪽 그림을 보면 '감'이 왔고, 오른쪽 글을 읽으면 머리 속에 정리되어졌다.
그의 글은 굵은 한 문장으로 요약되고, 아래에 두어문장으로 설명되었다.
설명이 필요없을 땐, 사진에서 생략하듯 과감히 생략되었다. 

사진없이 글로 표현할 수 있는 그, 그가 부러웠다.
그 자신감과 오직 최고에 경지에 올랐을 때만 할 수 있는 잠언과 같은 의미심장한 말들.
나는 '글'없이 '사진'으로 말할 수 있을까
그의 간결한 책을 이 많은 글로 밖에 설명할 수 없음이 안타까운 순간이다.  

그래서 내게 욕심이 생겼다.
말이 필요치 않는, 아니 오히려 '사진'이기에 가장 잘 표현한, 보는 이를 자극시키는,
때론, 웃게 때론 울게, 때론 그립게 하는 사진을 찍는 것.

이 책을 보는 이 중 누군가는 이런 욕심이 생길 것이다.
그리고 그런 생활사진작가로 발딛게 한 순간 작가이자 기자인 곽윤섭이  
그 자리에 있었음을 떠올릴 것이다. 

'사진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다했다'며 카메라를 내려놓고 다시 그림으로 돌아갔다는 브레송.  

문득 작가 곽윤섭 행로가 한국의 브레송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돌연드는 건 왜일까.
 

* 저자 곽윤섭 작가의 '사진마을' 블로그 http://photovil.hani.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