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으로 산다는 것 -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드라마로도
책으로도
독자들 더욱 나아가 국민들의 관심속에서 여전히 살고 있는 영원한 존재는
" 왕 " 이다.
특히 27명이나 되는 태종태세문단세...하며 남녀노소 외우는 조선시대 왕의 이야기는
언제나 흥미롭다. 그들 당신뿐 아니라 가족 그리고 관련된 여자들의 이야기까지...지루할 틈이 없어
TV드라마 사극에도 많이 등장하는게 왕이다.
'왕으로 산다는 것 ' ...제목만 들어도 맘이 짠하다.
요즘 대한민국을 뒤흔들었던 심각한 사건들의 주인공이 현재의 왕인 분들과 관련된 것이라 더욱 그런것 같다.
많은 이들이 되고 싶어하는 한 나라의 최고자인 왕의 위치
조선시대 왕으로 산다는 것 그들의 위치와 책임면에서는 어땠을지 참 궁금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왕의 신변 잡기 이야기나 많은 이들의 흥미를 끄는 후궁이나 여자와 관련된 그런 이야기들로만
흥미를 주는것이 아니다. 물론 다양한 사실들이 나오지만,
그보다 정말 중요한 이야기!
1. 왕이란 누구인지
2. 그들이 해야 할 일은 정말 무엇이었는지
3. 그들은 어떻게 업적을 이루고 왕으로서 어떻게 역경을 이겨나가며 백성들을 위해 일했는지
등
심각하고 진지한 것들 이지만 정말 흥미롭고 제대로 확실하게 명쾌하게 기억할 수 있는 책이었다.
난 역사를 잘 모른다. 학창시절에도 그렇게 재미를 느끼지 못했던 과목이다.
그런데 어른이 되어서 점점 더 역사이야기와 인물들에 빠져들게 되었고 지금은 역사소설을 즐겨읽는 독자가 되었다.
이 책은 400페이지가 넘는데도 읽기 어렵지 않았고 내용도 일목요연하고 잘 들어왔다.
난 한국사를 시험봐야 하는 입시생이 아니지만
" 왕으로 산다는 것" 을 내가 입시생의 입장에서 읽었어도 정말 교육적으로도 많이 도움이 되었을 책이다.
안쓰럽기도 했던 왕의 생활~
아무리 조선시대라지만 운동하나 하지 못하고 단명한 왕들도 많았고 건강상 문제도 많았던 왕들
권력의 소용돌이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원하든 원치 않든 왕의 자리에 올라 그들이 겪었을 정말
후소인 우리에겐 흥미를 주지만 그들에게는 목숨이 걸렸던 왕으로서의 생활
이 한권으로 왠만한건 다 알아버린 기분이었다.
나는 언제나 세종대왕을 존경한다.
수 많은 왕들이 나오지만 세종대왕의 화려한 업적에 가려진 그의 불운했던 가정사가 기억에 많이 남는다
현대 드라마로 방영되어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인물 바로 장녹수!에 대한 이야기
우리가 기생으로 알고 있으나 실은 양반가 규수인 어우동의 성종시대의 처형 등~
정말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어내려갈 수 있었다.
조선시대 왕들의 계보로 역사로 푹 빠져들고 싶은 분께
역사를 좋아하지 않지만 역사이야기가 어렵게 느껴지지만 알고 싶은 분들께
적극 추천해 드리고 싶은 책이다.
정말 재미있고 어쩜 그렇게 정리도 잘 되어있는지 왕의 이야기를 통해 역사를 머릿속에 싸악 정리해볼 수 있었다.
우리가 지금 이렇게 그래도 편안하게 살 수 있는 것도
모두 왕들이 고난과 고통을 겪으며 그들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했기에 가능 한 것일 것이다
물론 자신을 통제하지 못하고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못한 왕도 있었지만,
조선시대 27명의 왕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하고 싶다.
너무너무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개그를 보고 웃는 그런 재미보다 훨씬 깊이있는 재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