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사회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마다 그 시대에 고유한 주요 질병이 있다" 는 흥미로운 말로 이 책은 시작된다. 책의 제목인   "피로"가 우리 시대의 고유한 질병이고, 이 "피로"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다룬다. 우리가 느끼는   피로가 시대의 산물로 말미암은 것인가? 더 나은 성과와 결과를 위해 끊임없이 애쓰는 우리 모습에    대한 고찰이 들어있다.

저자는 "부정성에 의해 제약받지 않은 긍정성은 긍정성의 과잉으로 귀결되어 자아를 짓누르게 되며, 규율사회의 부정성이 광인과 범죄자를 낳았다면, 성과사회의 긍정성은 우울증 환자와 낙오자를 만들어낸다(요약)"고 말한다. 모든 걸 다 이룰 수 있다는 긍정사회의 판타지로 말미암아 피로사회, 더 나아가 우울증 사회를 부르고 있다는 논리이다. 저자는 또 힘의 두 가지 형태로,  첫째 "긍정의 힘_무언가를 하는 힘", 둘째 "부정의 힘_ 하지 않을 힘"을 이야기한다. 단순한 무력함은 무언가를 해내지 못한다는 점에서 긍정의 힘에 종속되지만, 부정의 힘은 이를 뛰어넘는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자기착취를 거부하는 이 "부정의 힘"이 아닐까? 그러나 우리 사회는 부정의 힘을 가진 사람에게 아직 쉽게 문을 열어주지 않는다.

책이 주는 묘미의 하나는 사물을 객관화해 자신의 삶을 통찰할 수 있는 시각을 갖게 해주는 것이라 나름 생각한다. 이 책은 더 나은 성과와 결과를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채찍질하며, 발을 동동거리는 우리의 모습을 제3자의 눈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우리는 과거 "해서는 안 돼!"로 대표되는 부정사회가 아닌, "네가 하려 하면 뭐든 할 수 있어!"라는 긍정사회에 살고 있다. 이에 따라 내가 이루지 못하는 일의 책임은 고스란히 나에게로 돌아온다. 그래서 늘 마음 한편에 내가 해내지 못한 많은 일에 심적 부담감을 안고 사는 건 아닐까? 그리고 그런 부담감 때문에 피로하고, 그 피로함 때문에 또 많은 일을 포기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건 아닐까?

긍정의 힘과 함께 부정의 힘이 공존하는 사회, 성과보다 노력에 칭찬해주는 사회, 휴식의 중요함을 일깨워 주는 사회, 경쟁보다 함께하는 것의 힘과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는 사회, 그래서 사회의 고유한 질병으로 "웃음 병"이 만연한 사회에 살고 싶다.

※ 이 책에 언급된 <필경사 바틀비>도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책이었다.

==============================================================================

<피로사회>

37쪽~ <활동적 삶>
~ 노동사회는 개별화를 통해 성과사회, 활동사회로 변모했다.
~ 유사 이래 삶이 오늘날처럼 덧없었던 적은 없었다. 극단적으로 덧없는 것은 인간 삶만이 아니다. 세계 자체도 그러하다. 그 어디에도 지속과 불변을 약속하는 것은 없다. 이러한 존재의 결핍 앞에서 초조와 볼안이 생겨난다. 노동하는 동물이 어떤 유에 속하고 자신이 속한 유를 위해 노동하는 것이라면 여기에는 동물다운 느긋함이 생겨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후기근대의 자아는 완전히 개별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죽음의 기술로서 죽음에 대한 공포를 덜어주고 지속의 감정을 불러일으켜야 할 종교도 이제 그 시효가 다 되었다.

~ 과잉활동, 노동과 생산의 히스테리는 바로 극단적으로 허무해진 삶, 벌거벗은 생명에 대한 반응이다. 오늘날 진행 중인 삶의 가속화 역시 이러한 존재의 결핍과 깊은 관련이 있다.

<우울사회>

~ 우울증, 소진증후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같은 오늘날의 정신 질환은 심적 억압이나 부인의 과정과는 무관하다. 그것은 오히려 긍정성의 과잉, 즉 부인이 아니라 아니라고 말할 수 없는 무능함, 해서는 안 됨이 아니라 전부 할 수 있음에서 비롯하다. 그러므로 정신분석학으로 이런 병에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울증은 초자아와 같은 지배기관에서 오는 억압의 결과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