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현 스님의 조금 특별한 불교 이야기 - 자본과 권력의 관점에서 본 새로운 불교의 역사
자현 스님 지음 / 불광출판사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현스님의 선불교 강의를 유튜브로 듣다가, 강의 내용이 흥미로워 책까지 샀다. 일반적으로 불교 안에서 불교를 서술하는 개론서들은 천편일률적인데 반해, 본서는 불교 밖에서 자본과 권력, 기후와 풍토, 인도인과 중국인의 고유한 사상적 배경 등 외부 소재를 가지고 불교를 들여다 본다. 참으로 흥미롭고 흥미롭다. 이 책을 읽으면 남방의 초기불교와 북방 선불교간의 차이를 정확히 들여다 볼 수 있다.


고통이라고 하면 우리는 흔히 고락의 상대적인 고를 생각한다. 이것은 중국철학적인 고의 인식이다. 그러므로 인생은 고통스럽지만 동시에 살 가치가 있는 것이 된다. 그러나 불교에서의 고는 생멸의 군상 속에 존재한다는 그 자체로서의 '일체가 고'이다. 즉 미망의 세계 안에 있다는 사실 자체가 고인 것이다.

...영화 <매트릭스>에서처럼, 불교는 꿈과 같은 세계에서 깨어나는 것만이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즉 매트릭스 안에서의 일은 모두 다 무가치하며 헛된 고일뿐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주인공 네오는 매트릭스 안에서의 일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매트릭스를 무너트리려고 한다.

매트릭스 안에도 나름의 즐거움은 있을 수 있다. 마치 꿈속에서도 쾌락을 느낄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불교는 그것이 진실이 아니므로 모두 다 헛된 고일뿐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본질적인 고'라고 한다. 즉 불교는 깸과 꿈의 두 가지를 말하며, 꿈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이며 낙일 수 없다는 것이 불교의 관점이다.

-------p.091 중에서

여기서 이야기하는 '불교'는 중국 선불교를 제외한 전통불교를 지칭한다. 인도에서 시작된 전통불교는 삶이 '본질적으로' 고라고 이야기하며,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반면 중국철학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선불교는 삶이 '본질적으로' 괴롭다는 견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죽음으로 인한 삶의 부조리'라는 부분만 해결되면 삶은 누리고 경험해야 할 대상이 된다.


현실은 꿈과 같이 헛된 것이지만 깸의 세계가 별도로 있는 인도불교와는 달리, 선종에서 현실은 부정의 대상이 아닌 대긍정의 유희 대상으로 전환된다. .....(중략) 현실긍정론은 중국철학의 기본 배경으로, 상고주의나 역사주의와 같은 것은 바로 이러한 관점 위에 세워진 것이다. 이는 역사에 이름을 남기려고 하는 정신과 권력의 성취 의지와도 연관된다. 이런 점에서 중국의 (선)불교는 자각을 통해서 깨어난다는 인도 불교의 비역사주의적인 관점과는 큰 차이를 지닌다.


------p.277 중에서



본서의 후반부에서는 선불교의 돈오사상을 언급하기도 한다. 돈오는 인식론적 전환의 문제이며, 돈오라는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면 돈오 '이후'의 부분은 수행적 측면이 존재할 수 없다는 저자의 말은 현응스님의 저서 <깨달음과 역사>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선불교의 돈오와 현실긍정은 이후 윤리성의 결여, 출가의 불필요성으로 이어진다. 선불교의 가장 취약점인 윤리 문제는 미국에서 선불교가 쇠퇴하는 결정적 요인이 된다. 또, 선의 가르침을 궁극적으로 밀어붙이면 그것은 종국에 출가 필요성의 문제제기가 발생하는데, 선사들의 무애행 및 환속은 이 지점과 연결되는 부분이 많다. 현재 선종을 표방하는 조계종은 소의경전을 금강경으로 하고 있지만, 나는 실제 선경에 가장 가까운 것이 유마경이라 생각한다. 공교롭게도 유마경의 주인공은 유마거사라는 재가자이다. 이는 선의 궁극적 귀결에는 출가와 재가의 경계가 무의미함을 상징하지만, 이는 승가라는 출가 수행 공동체에서 보자면 상당히 치명적이고 위험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선은 모든 것에 생명력을 불어넣지만, 그것은 동시에 윤리와 승가 존립의 문제를 내포한다.


본서는 인도불교와 중국 선불교의 차이뿐 아니라 불교 전체를 폭넓게 아우르며 여러 논제들을 참신한 시각으로 다루고 있다. 불교적 지식이 전무한 독자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 기초 불교교리와 불교사적 지식을 갖고 있는 분들에게는 더없이 훌륭한 책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