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
루이스 세풀베다 지음, 권미선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서른 다섯개 이야기를 묶어서 낸 '소설집' <소외>는 영웅이 아니면서 우리에게 꼭 필요한, 잊어서는 안되는 사람들 이야기가 담기어 있다.
얼터너티브 버전 <민중의 세계사> 라고나 할까.

우선 작가는 넓은 인적 네트웍을 토대로 익명성을 지워낸다. 다시 살아난 민중들의 그 처절한 투쟁사는 어떤때는 밋밋하고 어떤때는 격정적이고 또 어떤때는 피가 솟구친다.
각각의 이야기들은 길지 않고, 감상적이지도 않다. 이 사람들에게 주어진 것은 불과 5~7페이지의 지면에 불과하다. 이 이야기를 되살려 기억하고자 하는 사람, 루이스 세풀베타가 아니면 이 소소한 이야기조차 듣는 것이 가능할 것인가.
이 사람들은 마르크스도, 게바라도, 로자도 이현상도 아닌 그냥 사람들인데 말이다. 그것이 이 책이 주는 이야기다. 기억하라, 네가 알지 못하는 것까지. 그것이 최소한의 의무란 말이다.

이야기는 유태인 수용소에서 첫장을 시작한다. <소외된 이야기>
"그곳에서는 '그렇다면 이런 역사가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내가 뭘 할 수 있단 말인가'라는 비탄에 젖게 되기 때문이다."
그곳에서 철저히 소외당해 죽어간 사람들의 기록을 본다. "나는 여기에 있었고, 아무도 내 이야기를 하지 않을 것이다." 잊혀진다는 것의 두려움, 그 외로움은 기억보다 더 짙은 이야기를 해야 할 필요성의 반증인 것이다.

사랑의 책임감, 평생을 싸우는 사람들에 대한 경외감, 민족주의의 폐허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 아마존의 환경파괴(작가가 시종일관 주목하고 있는 사항이기도 하다)...

꽃가루 1g과 자기의 몸 1g을 같이 생각하는, 소중함이 무엇인지 아는 인디오에게서 내가 배울 것은 낭만이 아니라 삶이었다.

진실이란 무엇인가.
"오늘날 자기 원칙을 가지고 감히 '싫다고' 대답하는 신실한 사람이 소외된 사람이다."
소외된 사람들에게 경의를.
루이스 세풀베타에게 찬사를.
아름다운 책이다. 기억과 초월과 계승을 배울 수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5-06-21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풀베다의 정수라고 느끼면서 읽었습니다. 정말 좋은 책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