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샘 올트먼, 더 비전 2030 - AI부터 생명공학까지, 오픈AI가 설계하는 미래
이재훈 지음 / 한빛비즈 / 2025년 6월
평점 :
컬처블룸&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직접 읽고 솔직하게 느낀 점을 작성한 글입니다. 『샘 올트먼, 더 비전 2030』은 오픈AI CEO 샘 올트먼의 리더십, 그리고 AI 혁신의 흐름을 따라가며 앞으로 펼쳐질 기술 사회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 이재훈은 IT 커뮤니케이터이자 테크 칼럼니스트로, 국내 금융사와 스타트업에서 DT·AI 전략 업무를 수행해온 실무 전문가다. 현재는 IT 뉴스레터 ‘테크이슈’를 운영하며 KB국민은행, 현대카드, 국민연금공단 등의 기관에 필진으로도 활약 중이다.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샘 올트먼이라는 인물이 단순히 기술기업의 경영자라기보다는, 기술을 ‘사회 변화의 가속 장치’로 보는 철학적 리더였다는 점이다. 그는 챗GPT라는 툴의 등장을 단순한 기술 혁신으로 보지 않고, 인간의 노동 개념과 산업 구조 자체를 뒤흔들 수 있는 ‘시대 전환의 신호탄’으로 간주한다. 특히 인공지능이 단순 반복 업무에서 시작해 점점 창의적 사고나 분석, 판단, 기획 등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저자의 설명은 충격적일 만큼 현실적이었다.책에서는 생성형 AI가 단순히 기술자들만의 영역이 아니라, 일반 사용자와 소비자에게도 얼마나 빠르게 파고들고 있는지를 다양한 예시로 보여준다. 예컨대, 챗GPT 도입 이후 보고서 작성, 부동산 시장 분석, 의료 진단 보조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가 어떻게 실무를 바꾸고 있는지를 소개하며, 지금 우리가 겪는 변화가 얼마나 뿌리 깊은지 설득력 있게 그려낸다. 이 과정을 설명하는 문체도 딱딱하지 않고, 기술 배경지식이 부족한 독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된 점이 좋았다.다만, 아쉬운 점을 하나 꼽자면 책이 다루는 주제가 매우 방대하고 기술 기반이 탄탄하다 보니, AI나 산업 변화에 대한 사전 이해가 전혀 없는 독자에게는 일부 내용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는 점이다. 챕터 구성이 간결한 대신, 각 사례나 기술 개념이 빠르게 지나가 독자가 충분히 몰입하기 전에 다음 내용으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