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세로 세계사 3 : 중동 - 화려한 이슬람 세계를 찾아서 가로세로 세계사 3
이원복 글.그림 / 김영사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172쪽을 보면 '이슬람의 다섯 기둥'(5 pillars of Isam)이라는 말에서 '필리스틴'(Phillistines)으로 불리게 됐고 이 말이 오늘날의 '팔레스타인'(Palestine)이 되었다는 설명이 나옵니다.

(Pillars-> Phillistines-> Palestine)



하지만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팔레스타인'을 찾아보면

"팔레스타인이라는 이름은 히브리어 플레셰('펠리시테인의 땅'이라는 뜻)에서 나온 그리스어 팔라이스티나에서 유래되었다."

라고 되어 있더군요.

여담이지만 (통상 '구약'아리고 부르는) 히브리어 성경에 나오는 '플레셰'는 한국어 성경에선 '블레셋'이라고 번역된다고 합니다.

'팔레스타인'이라는 단어에 대한 가로세로 세계사의 설명의 근거(참조문헌 같은)가 무엇인지 출판사에 문의 했다가 저자인 이원복씨의 이메일을 알려주길래 직접 문의한지 벌써 여러달인데 응답은 없습니다.  저자가 너무 바빠서일까요? 그래도 자신의 책을 애독하는 독자의 질문도 좀 신경써줬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계기태 2008-04-10 0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성경의 블레셋이 바로 팔레스틴이며 팔레스타인의 어원입니다.(참고문헌 중동사, 김정위, 대한교과서) 이슬람의 다섯기둥이 나오기 전에 이미 팔레스틴이란 단어가 있었을 텐데요....
가로세로세계사 3편 아직 읽어보지 않아서....
저도 의문이 드는군요

김정위선생님은 중동사, 이슬람문화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에서 손꼽히시는 전문가 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