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칠월의 청포도 - 이육사 이야기 ㅣ 역사인물도서관 4
강영준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21년 12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육사 시인의 삶을 재구성한 소설식 내용이에요.
남아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당시의 상황을 재연한다는 게 쉽지는 않겠지만
소설처럼 들여다보는 시인의 일생이 ‘저항시인’ 명칭 그대로라 숙연해지게 됩니다.
오랜만에 다시 보는 시인의 작품들이 실제 살았던 모습과 함께 읽혀서 절로 대비가 됩니다.
예전에는 내 고장 칠월…에 찾아올 손님이라든가
백마 타고 오는 초인… 이런 시적 표현에 들어 있는 뜻이라든가
시적 주제 같은 걸 익히기 바빴는데요.
이제는 제 공부가 아니다 보니^^ 시인의 작품에 좀 더 집중이 잘 되는 느낌이에요.
.

.
일본을 배워서 일본을 알고 그래서 일본을 이길 방법을 찾고자 했던 이육사 시인 같은 이들과
일본을 배워서 ‘뼛 속 깊이 일본인’이
되고자 하는 주변인들의 모습이 대비되어
시인의 의지가 더 크게 다가오네요.
일제 압박 속 만 35년이라는 시간 동안
일본에 저항하다가도 결국 눌려서 순응하려 하는 이들도 많았을 테고
실제, 이광수 같은 이들의 친일 행적이 책에서도 보이는데요.
폭압을 견디는 힘이란 게 기약을 알 수 없는 상황에선
결코 쉽게 가질 수 있는 힘이 아니었을 거예요.
압제에 굴복한 이들의 생각이 나라도 두려움에 무너졌을 것 같아, 하게
되고
인간적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암담한 현실을 뿌리치고 온전히 스스로 설 수 있는 내 나라를 되찾고자 한
이육사 시인 같은 분들께는 한없이 감사를 드릴 뿐입니다.
긴 세월 이겨내고 결국 독립을 거머쥔 우리나라가 대단한 역사를 이룬 것이구나,
싶고
제국주의의 무참한 지배에서 결국 벗어날 수 있도록
나라 안팎에서 애쓰신 선열 분들이 확실히 친일파와 구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고 새삼 생각하게 됩니다.
.
[‘이육사’ 이름에 담긴
의미를 보면서 시인의 의지를 이해해요]

.
.

.
다른 책에서, 현충원 등에 묻히신 독립투사 분들과 친일파 이야기를 읽게 되었거든요.
용기가 없어서 일제의 압제에 순응했던 이들 정도가 아니라
대놓고 친일한 이들이 버젓이 독립투사 분들과 한 자리에,
아니 더 좋은 자리 차지하고 있다는 내용에 깜짝 놀랐어요.
저의 아이는, 법이 미비하여 이장이 어렵다면
현충원 내에 친일했던 이들 자리를 따로 만드는 건 어떨까 제안하더라고요.
미처 가보진 못했지만 독립투사 분들 구역은 따로 있다고 들었거든요.
.
책에서도 일본의 압제가 길어져서 제국주의 일본 치하가 익숙해지고
그래서 되려 일본에게 더 가까워지고자 하는 이들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독립을 염원했건만 삼일 운동이 우리의 독립으로 이어진 건 아니지요.
그래서 현실에 순응하려 하고 이 순응이 아예 ‘일본인이 되자’는 생각이 되기도 합니다.
.

.
이육사 시인이 살던 시기와도 겹쳐서 영화 [말모이]에 나온 인물들이
책 속 누군가와 비슷해보인다 생각하며 보게도 되었어요.
점점, 이미지로 연상하면 기억하기가 더 쉽더라고요.
그래서 개인적으로 겹치는 건 아니지만
[말모이]에서 조선어학회 대표로 나온 류정환의 아버지 류완택 같은 이가
일본에 저항하였으나 현실에 순응하고 변절한 인물들이
책에 보일 때마다 영화 속 장면과 함께 떠오릅니다.
.
독립을 꿈꾸던 이들에게 가족이란 어떤 의미였을까요?
이육사 시인과 함께 자란 형제들의 끈끈한 형제애에 부러움이 느껴질 정도였는데요.
당시 독립을 염원했다는 이유로 그 가족들이 견뎌야 했던 삶이라니…
시인의 삶에서도 발견할 수밖에 없어서 안타까웠어요.
현충원에 잠드신 독립운동가들 다룬 책에서
한 독립운동가의 후손이 ‘독립운동하면 삼 대가…’ 하는 말을 언급하는 걸 보고
그런 독립운동가분들 덕분에 안락한 삶을 살고 있는 후손으로서 얼굴이 홧홧하던데요.
개인적인 고난도 그렇지만 함께 견뎌야 했던 가족들도 모두 장하신 분들입니다.
이육사 시인의 삶과 함께 시대적 배경이 그려지니 당시 삶에 대해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네요.
가령, 대구에 이런 역사가 있구나,
하면서 읽은 내용도 있어요.
.

.
일제 시대, 우리나라에서 수탈해간 대표적인 것이 쌀이겠지요.
쌀가마니 가득 쌓아둔 사진 보고 저렇게나 가져가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뭘 먹고 견뎠을까? 새삼 안쓰러운 마음 들었어요.
쌀뿐 아니라 사람까지 잡아갔던 그 당시를 이겨내고 살아남은 것만도
박수를 드릴 만 하다 싶을 정도입니다.
.
소설 형식이라 시인이 살았던 시대가 지금인 양 보이는 것 같고요.
많은 자료를 참고해가며 시인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신 작가의 노고가 대단해보여요^^
덕분에 이육사 시인에 대해, 시에 담긴 저항 정신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잘 알 수 있었습니다.
.
.
네이버 도치맘에서 [칠월의 청포도]를
제공받고 읽어본 생각을 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