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전과목 어휘력 사전 - 교과서 속 개념이 보이는 초등 전과목 어휘력
정명숙 지음 / 다락원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과 어휘를 잘 배워둬야 윗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교과서를 어려워하지 않는다고, 잘 배워두라 들었어요.

그래서 어휘력 사전, 그것도 전 과목 교과 어휘가 다 나온다니,

아직 펼쳐보기도 전에 마음에 쏙 들 것 같아요^^

그리고 드디어 한 장씩 읽어보니… 여기저기, 마음에 드는 부분들이 보이기 시작하네요 ㅎㅎ

.

그림 포함된 초등 사전이라지만 함께 나온 내용들을 보면 

중학생이 봐도 활용할 부분 많아보여요.

국어 과목 어휘에서는 구개음화 같은 생소한 규칙을 설명한 것이라든가 문법 설명도 있고,

단순히 단어와 뜻을 알려주는 사전에서 확장된 설명을 보니

이런 책은 자꾸자꾸 읽어줘야겠어요 ㅎㅎ


[중등 과정에서 배울 문법 관련 지식을 미리 알아둘 수 있어서 좋아요]

.

.

단어 설명 란에서 어근, 어미, 접사처럼 문법으로 접근하는 어휘들이 나와서 

초등 아이가 이번에 알아두면 좋겠지요.

소위 주요 과목 어휘들을 공부할 수 있는 것도 좋지만

전 과목 어휘, 특히 예체능 과목 어휘를 볼 수 있다는 게 이 책의 최고 강점으로 보여요.

.

(설명 부분에 ‘영(어)’, ‘비(슷한 말)’을 알려줘서 참고하기 좋아요.

반대말이나, 특히 국어 단원에선 잘못 쓰는 말도 알려줍니다.) 

‘일화’가 잃어버릴 뻔한 말이라는 걸 [초등 전과목 어휘력 사전]을 보고 처음 알았어요.

그동안 뜻을 모르고 그냥 써오던 말들이 얼마나 많을까, 새삼스럽게 생각하게 됩니다.

(심지어 외래어인 척 에피소드를 쓸 때도 많았는데 바로 옆에 비슷한 말로 나와요.)

우리말을 잘 알고 쓰면 내 생각을 표현하고 전달하기도 좋을 거예요.

.

한중록의 ‘한’이 한이 서린 의미인 것으로 지레짐작하고 있었던 게 웃기더라고요.

한자어 병기되어 있으니 이렇게 

처음부터 제대로, 정확하게 지식을 쌓을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아요.

.

국어 어휘만 해도 저도 배울 점들이 이렇게 보이는데

수학으로 넘어가니 이런 게 필요했어! 소리가 절로 나오네요.

‘이미 약분이 된 분수’라는 기약분수 뜻 설명부터 

[초등 전과목 어휘력 사전]을 잘 봐두면 아이들이 제대로 공부할 수 있겠다는 생각 듭니다. 

개념만 콕 집어서 모아놓은 작은 수학사전 같아서 수학 단어들도 유심히 보게 되었어요.

저는 예전부터 ‘모서리’ 뜻이 헷갈렸거든요. 

평면도형에선 꼭지점 부분이 모서리라 생각하는데 

입체도형에서는 면과 면이 만나는 변이 모서리가 되니까요.

그럼 평면도형에서 말하는 변이 입체도형에서 말하는 모서리… 

왜 말이 다르지? 하고 늘 당황했어요. 

(어느 책에서 봤는데요. 처음에 제대로 안 배우면 이렇게 내내 헷갈린다고, 

그래서 처음부터 제대로 알아둬야 올바른 공부라 하더군요 ㅋ)

이런 걸 제 아이에게 잘못 전달하면 안 될 것 같아서 엄마표로 하는 수학은 조심스럽더라고요.

가령 최솟값, 최댓값, 절댓값… 언제부터 ㅅ받침이 들어간 말로 바뀐 건지요…^^;;;


[중학 개념도 나와줘서 자연스럽게 맛보기 지식이 됩니다]

.

[사각형 전개도가 이렇게나 다양하다니… ‘수학사전’에서도 눈에 띄는 지식 많네요^^]

.

[초등 전과목 어휘력 사전]으로 아이 공부할 때 저도 같이 배워야겠다 생각해요.

아이가 공부하도록 도와준다는 생각만으로는 현실을 따라갈 수 없더라고요.

단순히 인재상과 교육 목표가 바뀐 정도가 아니라

맞춤법부터 달라지는데 저도 공부하기 좋은 책 가지고 아이와 함께 공부하면

서로 배우는 이점도 있어서 보람 있어요^^

.

[초등 전과목 어휘력 사전]에서 

앞부분 국어, 수학 편 살펴본 것만으로도 이 책의 장점이 넘쳐나네요^^

교과서에선 시간 순으로 배우던 역사인데 

사회 단원에선 가나다 순으로 보는 방법이라 색다른 느낌도 주더라고요.

방법 하나 차이일 뿐인데 새롭게 보이기까지 했어요.

또, 역사 부분에서도 아관파천, 이제껏 말로만 알던 것을 본래 뜻도 알게 되었어요^^;

(俄館播遷 – 러시아 아, 집 관, 달아날 파, 옮길 천. 

한자 뜻으로 보면 이리 쉬운 것을… 합니다…^^) 

.

그리고 가장 기대가 되었던 예체능 과목 편!

‘주요 과목’이 아니라는 이유로 초등 때에도 제대로 공부로 접근하진 않는 것 같은데

이렇게 관련 어휘도 볼 수 있으니 이론 공부하는 느낌이네요^^ 

생각보다 싱거웠던 ‘아리랑’ 뜻이며 (후렴에 ‘아리랑’이 들어 있는 노래라는군요.)

피아노 학원 다녀야 알 것 같은 장음계, 단음계 의미하며

피아니시모부터 포르테피아노까지, 음악 과목에서 배우는 개념과 용어를 보니

책으로 음악 이론은 충분하겠어요^^

pictogram 표현도 ‘표지판’ 정도나 생각했는데 

이제 아이가 배우는 지식을 저도 제대로 알게 되네요^^

.

.

[이런 음악 이론은 전과에 나오는 개념 부분 같지요…^^]

.

초등 교과 공부하려면 전과목 다 공부할 수 있는 전과… 정도나 생각했는데

공부 느낌 팍팍 나는 교재보다 책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이 편안하네요^^

.


다락원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