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 세계로 떠난 역사 속 특별한 여행
이기범.김동환 지음, 이강인 그림 / 그린북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전에, 미지의 세계를 탐험한 모험가들을 다룬 책을 본 적이 있어요.

큰 지도와 함께 책 내용을 보고 있으려니 책 내용이 잘 들어왔고

내가 공부할 때는 왜 이런 책을 못 만났을까... 너무 아쉬웠어요^^

.

[넓은 세계로 떠난 역사 속 특별한 여행]은 제게 그런 느낌을 주는 책이네요.

궁금한 인물들이 먼 나라로, 세계 곳곳을 누비는 여행 이야기를 읽어보면서

해당 인물이 지나간 지역들을 지도로 살펴볼 수 있어요.

직접 가보지 못한 곳이 대부분이지만 ㅋ 인물들의 고된 여정을 짐작해보려 해요.

.

알쓸신잡을 다시보기로 보다가 방랑자에 관해 이야기가 나왔는데

역사 속의 방랑자들이 세상에 변화를 가져왔다고 하더라고요.

요즘 같이 첨단 탈것들이 가능한 세상에서야

비행기 같은 걸 타고 슝! 갈 수 있을 여정을

그 오래 전 옛날에는 이동 자체가 쉽지 않았을 테고

특히 머나먼 길을 떠나는 것은 목숨을 내놓아야 할 지경이었을 수도 있겠지요.

그런 악조건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목적을 위해 발걸음을 옮겨야 했던 인물들의 이야기가

제게는 너무 궁금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책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야기가 하나같이 눈길을 끄네요.

.

혜초 스님에 대해서는 조금 알고 있었지만 막상 이 분의 여정을 보니

왕오천축국전이 왜 그리 대단한 건지 새삼 느껴지네요.

요즘 서유기를 읽고 있어서 삼장법사와도 겹쳐보이네요 ㅋ

한 가지, 저는 이제야 '왕오천축국전'의 명칭을 제대로 알았네요.

인도의 다섯 천축국을 다녀온 기록인 셈인데 저는 이제껏

이 분이 많은 지역을 다녀와서 오천 곳의 나라에 대해 쓰신 줄...

(당시에는 조그만 마을도 나라였다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지요^^;;;)

아이가 듣더니 배를 잡고 웃더라고요^^;;;

 

 

원전에 대해 세세한 내용까지 나와 있어서 인도에는 왜 코끼리가 그리 중요한지,

또 헐벗게(?) 옷을 입는 사람들의 사연을 듣고 느낀

혜초 스님의 생각까지 잘 알 수 있었어요.

 

[고향을 그린 혜초 스님의 글도 남아있네요]

고선지 장군은 제가 어렸을 때 위인전에서 봤던 생각이 나기도 하고

고구려의 후손이라는 이유로 큰 공을 세우고도 되려 배척당한 것이 그저 안타깝네요.

우리에겐 징기스칸 이상으로 대단한 분인 것 같습니다.

그 오래 전에 세계를 누비신 분이네요.

인재를 활용하지 못한 당나라의 말로가 인과응보처럼 보이기도 했어요.

탈라스 전투라는 것이 세계사적으로 의미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종이가 전파된 경로와 함께 무심코 고선지 장군의 정벌 노선을 보다 보니

1차 정벌 노선이 들어가면 나올 수 없다는 타클라마칸 사막을 지나가는 것이

놀랍기만 하네요.

 

[탈라스 전투로 인해 유발된 종이의 전파]  

 

고려청자의 문물 여행 편에서는

강탈당한 우리 문화재의 현실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고

, 신안해저선 전시회를 갔던 기억이 새록새록해서 좋았어요.

.

홍어 장수의 사연도 너무 흥미로왔어요.

일반 백성이 고국으로 돌아오는여정이 눈물겹더라고요.

한 편으로, 양반 귀족처럼 대단한 사람이 아닐 일반 백성을

거두어주는 손길들이 있었기에

그 여정이 험난하지만은 않은 것 같아서 왠지 훈훈더라고요^^

.

저는 사실 다른 인물보다 유길준과 이준의 여행 이야기에 관심이 갔었는데요.

유길준의 여정도 과연 흥미로웠고요.

[동양에서 '최고 지도자'를 대하는 자세와 서양에서 '인간'을 대하는 자세가

서로 문화 충격이었겠지요^^]

 

 

제가 역사를 배울 때는 고종 황제가 무능했던 왕처럼 나왔는데

언젠가부터 숨겨졌던 역사적 사실들이 발굴되더라고요.

위태로웠던 나라 운명을 염려했던 고종 황제가

일본에 위협받는 우리 나라의 풍전등화 같은 실정을 세계만방에 알리기 위해

밀사로 보냈던 이준.

약소국의 대표라는 것이 한으로 그 노력은 허무하게끝났으나 

먼 나라에서 최선을 다 했던 이야기가 책 속에 담겨 있네요.

 

[약소국의 황제로서 나라의 운명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고종]

 

책 내용 곳곳에 들어있는 설명들이 재미있어요.

고려가 몽골에 눌려서 몽골 출신 공주들을 아내로 맞이한 이야기 정도는 알았지만

그 후손인 충선왕이 우리 나라보다 외국에서 더 많은 삶을 보냈다는 것도

처음 알았네요.

고려의 왕이니까 당연히 고려가 그의 고향이자 거주지일 것 같은 생각은

그저 착각이네요 ㅋ 

 

당시 신여성 나혜석의 생각이 책 속에 나오는데 그의 의문에 지금도 울림이 있네요.

 

인물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평화의 소녀상에 대한 이야기로 책이 마무리돼요.

우리가 역사를 잊지 않고 우리 역사를 지키려 노력해야 한다는 교훈을

저도 다시금 느끼네요.

아이도 같이 보더니 책이 재미있다며 호기심어린 눈으로 끝까지 읽어보더라고요.

지도로 인물의 여정을 같이 볼 수 있다는 게 왠지 모를 상상력을 부추기네요.

이런 곳까지 갔었단 말이야? 하는 놀라움도 주고

그 지역/나라가 어디인지 찾아보게도 되고요. 재미있게 역사를 보는 방법이네요^^

 

 

 

 

우리아이책카페에서 책을 받아보고

아이와 함께, 때론 손으로 짚어가며 읽은 소감을 글로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