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통방통 우리 놀이 ㅣ 신통방통 우리나라 4
송윤섭 지음, 백명식 그림, 김숙경 감수 / 좋은책어린이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어릴 적, 한번 밖에 나가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놀이에 빠졌던 제
모습이 떠오르네요.
요즘처럼 화려한 놀잇감은 아니었지만, 돌멩이며 고무줄, 주변 곳곳에
있는 것들이
다 즐거운 놀거리였지요. ~ 요즘 아이들은 삼삼오오 모이면 각자
휴대전화를 들고
게임을 하기에 바쁘지만, 제가 어릴 땐 평소 친하지 않아도 놀이가
맞으면 모두가
한데 어울려 놀았던 추억이 있답니다. 이 책을 보는 동안 그 추억이
새록새록 떠올려져
저도 모르게 행복한 웃음이 나더라고요.~ ^^

신 나게 연을 날리고 말타기 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표지에 그려져
있네요.
공격과 수비의 상반된 표정이 참 익살스럽게 그려졌지요.
^^
편찮으신 엄마, 할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한강돌은 동생 강희를
돌보며
약초를 팔러 장에 가신 아버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보름이면
돌아온다고 하셨지만
벌써 떠난 지 한 달이 되도록 아무 소식이 없었지요. 그런
한강돌에게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세상의 재미있는 놀이를 조사하러 다니는 선비가
나타납니다.
선비는 한강돌의 딱한 사연을 듣고는 한양으로 돌아가는 길에 한강돌과
함께
아버지를 찾아보자고 제안했지요. 그렇게 두 사람은 한양으로 가면서,
곳곳에서 열리는 우리 놀이를 체험하게 됩니다.

중요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이야기 속 어휘들은 '이 말은 이런
뜻' 에 담아 쉽게
풀어주었고요.~~

우리 놀이에 대한 이야기는 그림과 함께 재밌게 들려준답니다.
신통방통 학습동화는 내용도 유익하고 좋지만, 군데군데 삽화를
풍부하게 실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 점이 참 좋더라구요.

이야기 한 편이 끝날 때마다 '놀이 기록장' 페이지를 통해 놀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주지요.
단순히 '이런 놀이가 있다'라는 사실을 전달하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왜 그런 놀이가 생겨났는지,
언제 어떻게 하는 놀이인지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주기 때문에 아이들과
실제로 놀이를 해 볼 수
있어 좋답니다.

꼼꼼히 읽어본다면 정확한 놀이 방법이나 유의점 등을 배울 수
있겠지요.~
아이가 이 페이지를 읽으며 작년 겨울 학교에서 선생님이 말타기를
알려주신
기억을 떠올리더군요. 재미있는 놀이이지만, 허리를 다치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고
말씀해 주셨다네요.~

책을 읽으면서 '사금파리'라는 단어에 큰 궁금증을 갖는
아이였답니다.
어감이 독특하고 잘 들어보지 못한 말이라 그랬던 것 같아요.
^^

한강돌과 선비 중 누가 윷놀이에서 이겼을까? ^^
윷놀이 활동지 너무나 재밌게 풀어봤네요.~
처음엔 연필로 해 보다가 옆에 바둑돌이 있길래 직접 움직여가며
말판을 돌아보았어요.
평소 주사위 놀이판도 쓱쓱 그려서 온 가족 둘러앉히고 게임에
열중하게 하는
아이라 윷놀이 말판도 신 나게 움직여가며 놀더군요. ^^

유치원에 다닐 때, 명절 때마다 한복 입고 투호를 하던 기억이
좋았던지
친구들에게 투호를 소개하고 싶다고 하네요.
혼자서 화살을 다섯 개나 넣어 친구들한테 칭찬을 많이 받았다면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