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통방통 플러스 우리 명절 ㅣ 신통방통 사회 4
김은의 지음, 유영주 그림 / 좋은책어린이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초등 교과에 나오는 지식을 재미있는 학습동화로 배워볼 수 있는
좋은책어린이의 신통방통 시리즈.
이번에는 3학년 '사회' 과목과 연계된 학습동화 '신통방통 플러스 우리 명절'을 만나 보았습니다.
우리 명절에 관한 모든 지식과 정보를 배움과 동시에, 가족의 소중함도 느낄 수 있는
감동적인 이야기라 더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이었어요.
엄마, 아빠를 잃고 홀로 떠돌아다니며 살던 '꼬마'.
설을 며칠 앞둔 어느 날 매서운 추위에 쫓겨 엄마 무덤을 찾아간 꼬마는
꿈결에 따뜻한 엄마 품에도 안겨보고 난생 처음 맛있는 밥도 먹으며 행복한 시간을 보냅니다.
하지만 엄마와의 짧은 만남도 잠시. 꿈에서 깬 꼬마는 또다시 혼자가 되었지요.
꼬마는 김 선비 댁을 찾아가 아들이 돼라는 엄마의 말을 떠올리고 김 선비 부부를 찾아갑니다.
자식이 없었던 김 선비 부부는 꼬마에게, 우선 일 년 동안 함께 살면서 명절을 보내 보자고 하지요.
김 선비 부부와 꼬마가 가족이 되기 전, 명절을 함께 보내려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명절에는 온 가족이 모여 즐겁고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가족의 소중함과 사랑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모를 잃고 혼자가 된 꼬마의 처지와 마찬가지로, 김 선비 부부 역시
자식이 없어 명절이면 늘 외롭고 적적했지요.
어쨌든 이 셋은 일 년 동안 가족이 되어 즐거운 명절을 보내기로 약속합니다.
음력 1월 1일. 한 해를 시작하는 설에는 어떤 일들과 놀이를 할까요?
떡국 먹기부터 차례 지내기, 설빔, 복조리 걸기 등... 다양한 놀이들과 할 것들을
소개해 준답니다. 새해맞이 기념으로 목욕도 하고 예쁜 설빔도 입은 꼬마.
한 해의 첫 명절인 설을 이렇게 즐겁고 행복하게 보내는 것을 보니, 어쩐지 기분좋은 예감이 드는군요.
해당 명절마다 하는 일과 놀이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고, 그림으로도 함께 보여주니
이해하기가 참 쉽답니다. 대대로 이어져 오며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잡은 전통 행사와 먹거리들,
제가 어릴 때만 해도 이 책 속의 놀이들을 거의 다 해보았는데 우리 아이들은
놀이나 먹거리 들을 제대로 챙겨주지 못한 것 같아 아쉽고 미안한 마음이 들더군요.
앞으로는 달력에 적어놓고 아이들이랑 해 볼 수 있는 건 해보려고요...
하나의 명절 이야기가 끝날 때마다 정리해 주는 페이지가 있어요.
--- 꼬마의 첫 명절 ---
본문에서 읽었던 내용을, 그림과 함께 연상해 보며 우리 명절에 대해 확실히 정리할 수 있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로 읽으면서 풍부한 정보도 함께 배울 수 있는 학습동화라서 좋아요.
꼬마가 김 선비 댁의 아들이 되려면 집안의 어른이신 작은할아버지의 허락을 받아야 했는데,
한식날 조상님 산소에 누워 장난을 치다가 호되게 야단맞은 적이 있던 꼬마는
그 후로 작은할아버지를 무서워했어요. 그래서 작은할아버지의 기침 소리만 듣고도
순간 얼음이 된 꼬마랍니다. ^^ 단옷날, 온 힘을 다해 씨름하는 모습도 생생하게 그려졌지요.
이야기를 재밌게 읽은 후, '꼬마가 보낸 우리 명절'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어요. 날짜의 순서에 맞게 한 해의 명절을 한눈에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첫 번째 읽을 때는 이야기 위주로 읽더니, 두 번째는 "엄마, 음력이 뭐예요?" 하며
묻기도 하더군요. 그래서 좋은책어린이 카페에서 읽었던 음력과 양력의 기준에 따라 달력 만드는
방법도 이야기 해주고 탁상 달력에 적힌 엄마 아빠의 음력 생일을 예로 들어 설명해 주었답니다.
책 읽고서, 활동지 풀며
재미난 시간 보냈고요.~
아이가 생각하는 가족이란,
힘들 때 도와주고, 아플 때 간호해주고, 맛있는 것은 나눠 먹고,
학교에 갔다 오면 함께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마지막 부분을 읽으며 아직은 아이와의 대화가 부족한 편은 아닌가보다... 라는 생각에
다행이라는 느낌이 들었어요.
"저는 위 도서를 추천하면서
좋은책어린이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