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지리 바탕 다지기 : 지도 편 지식의 깊이를 더하는 창의융합형 초등 사회 시리즈 1
이간용 지음 / 에듀인사이트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 3학년 이상이 되면 사회 시간에 지리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교과 과정이 바뀌어 큰 아이의 경우는 6학년 2학기에

세계지리 포함하여 지리를 배우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사실 지리가 쉬운게 아니잖아요.

5학년에 우리나라의 지리의 개념을 배우긴 했는데

사실 지금까지는 지리의 맛보기에 불과한지라

이제부터가 본격적인 시작이다 싶긴 합니다.

지리는 암기만으로는 절대 안되는 과목이긴 하죠.

무엇보다 흐름을 이해하는게 중요하리라 봅니다.

지도를 읽는다는게 무엇인지 지리 개념을 익혀가는데 있어 좋은 책이 있더라구요.

<초등 지리 바탕 다지기 - 지도 편> 입니다.

지도를 이해하는 순차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으로

구성하여 지도 공부의 묘미를 느낄 수 있는데요,

지도의 기본 요소와 방위, 축척, 범례, 등고선, 경. 위도까지

꼭 알아야 할 초등 지리의 기초를 탄탄하게 다져주는 교재에요.

앞서도 이야기 했지만 지도, 지리는 절대 외워서만 되는 공부가 아니잖아요.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이 참 마음에 들었어요.

외우지 않고 활동을 통해 이해하는 새로운 형식의 워크북 활동으로

지리 개념을 터득해 나가는 형식이 좋았습니다.

우리나라 지도에서 그치지 않고 범위를 넓혀 나가는 특징이 있는데요,

공간 사고력을 키워주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큰 아이는 지금 세계사도 함께 공부하고 있거든요.

하여 지도를 공부할 일이 많더라구요.

현재뿐 아니라 각 국의 역사를 공부하면서

자연스레 해당 국가의 역사 지도를 함께 공부해야 하니

훨씬 공부할게 많긴 합니다.

하여 지도를 보고 개념을 잡아가는게 중요한거죠.

지도를 이해하는 순차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이 시간이 걸리긴 하지만

중학교 교과 과정을 위해 또 꼭 필요한 부분이라 소홀히 할 수 없답니다.

지도보기의 개념이 잘 잡혀있느면 주변 공간 능력또한 안목을

키우게 된다고 하니 더욱 중요해 보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