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원 부자 스콜라 꼬마지식인 9
방미진 글, 박재현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에게 경제의 개념을 가르쳐 주는것은 참으로 중요합니다.

아이가 1학년때였을거에요.

돼지 저금통을 배를 짼 날이었어요.

비닐봉투에 돼지 저금통에서 나온 동전과 지폐를 모두 모아 넣고는

아이 손을 잡고 은행으로 향했어요.

아이 이름으로 입출금 통장을 ​만들었구요.

될수있으면 아이가 스스로 한번 해 볼 수 있도록 저는 뒤로 빠져 앉아있었답니다.

돈을 은행에 맡기고 통장을 받아 올때 아이의 그 허무한 표정이

아직 생생히 떠오르네요.  ^ ^

아이가 "꼭 은행이 돈을 뺏어 간거 같아!" 그랬거든요.

"은행이 너의 돈을 가져간게 아니라 저금을 한거야"​ 라고 말해주고는

이제 이자가 조금씩 생겨서 더 부자가 될 거 라는 말을 해주었어요.

지금은 은행 이자가 너무나 적어 많이 아쉽지만,

어찌되었든 저축의 의미는 참 중요하지요.

<100원의 부자> 이 책을 통해 그 의미를 좀 더 배웠어요.

이제는 큰 아이뿐 아니라 유치원생인 작은 아이도

함께 경제개념을 공부해야 할 때거든요.

둘째 아이의 꿈은 '부자'가 되는 것이래요.

그 이유는 돈이 많아야 또봇을 많이 살 수 있기 때문이라나요...  ㅎㅎㅎ

부자가 되는것도 너무 좋지만 경제 개념을 제대로 배워야

관리를 잘 하는 사람이 되곘지요?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있지요.

어렸을 때 한 번 길들여진 습관이 평생 동안 지속된다는 말인데요,

이는 경제 습관에도 해당이 되는 말입니다.

어릴때부터 바람직한 경제 습관을 가지게 되면

커서도 대부분 합리적인 소비를 하게 되지요.

아이들에게도 돈을 쓰게하는 유혹은 참 많습니다.

장난감, 게임, 불량식품 등...  그렇지만 돈의 쓰임에 있어

자제력 있게 판단하고 잘 소비하는것도 중요하지요.

이 책의 장점은 가정이나 혹은 사소한 상황이라도 아이들의 공감대가 컸다는데 있어요.

더불어 유대인들의 돈의 의미와 철학까지 함께 배울 수 있어서

 너무 좋은 시간 되었던거 같습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