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적북적 우리 집에 김장하러 오세요 - 김장 ㅣ 우리 날 그림책 2
소중애 글, 정문주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2년 10월
평점 :
김치는 한국인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우리나라의 대표 음식 중 하나입니다.
우리 아이들은 다행히 김치를 아주 잘 먹어요.
특히 할머니표 김치를요. ^ ^
요즘 김장철이라 주부들이 많이 바쁠 시기죠. ^ ^
저도 빨리 해야하는데, 아직 전에 먹던 김치가
조금 남아 여유를 부리고 있네요. ^ ^
아이와 함께 이 책 보니까 빨리 하고 싶은 기분좋은 조바심이 들었어요.
이 책은 김장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서
잘 소개하고 있는 책입니다.
또, 다문화 가정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모습도 잘 다루고 있구요.
아빠들이 도와주는 모습도 보기에 너무 좋아보였어요.
다함께 도와서 일을하고 결과물을 나누어 갖는 모습이에서
지금 초등생인 큰 아이 교과서에 나온 품앗이나 두레의
의미도 한번 더 새겨줄 수 있었어요.
우혁이는 집 앞마당에 배추와 무가 가득 쌓여 있는걸 보고
"엄마, 이렇게 많은 걸 언제 다 해요?"
하고 깜짝놀라 물었어요. ^ ^
엄마는 옆집 슬기네랑 함께 할거라 하셨지요.
슬기는 올 봄에 옆집으로 이사온 친구로 슬기 엄마가 베트남 사람이에요.
우혁이는 아직까지 슬기랑 이야기를 해 본적이 없어
궁금하면서도 설레었지요.
자, 드디어 김장 시작!!
우혁이와 슬기도 열심히 배추를 나르면서 부모님들을 도왔고,
아빠들도 두 팔 걷어붙이며 열심히 엄마들을 도왔어요.
땅속에 김장독을 묻는 장면이 나오는데,
우리 아이가 신기해 하더라구요.
"우리 집에는 왜 항아리가 없어?"
하고 물어보네요. ㅎㅎ
요즘에는 아파트 세대가 많아 거의 김치냉장고를 쓰잖아요.
우리집도 그렇구요.
그래도 땅속에 묻어 익혀먹는 김치맛은 못따라간다고 하니
저도 나중에 주택에 살게되면 꼭 항아리 김치 한번 담궈보려합니다. ^ ^
김치 담그기에 대한 전반적인 요리 과정이 쉽게 잘 나타내었구요,
부록으로 설명된 <우리문화 제대로 알기> 부분에서도
많은 부분 아이에게 잘 설명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도움 많이 되었지요.
지금 우리가 즐겨 먹는 고춧가루를 넣어 빨갛게 김치를 담그기 시작한것은
17세기 초에 일본에서 고추를 들여오면서라고 합니다.
아이가 그 전의 김치맛을 궁금해 하네요. ㅎㅎ
바로 백김치를 설명하니 "아~~" 하고 바로 이해합니다. ^ ^
우리몸에 필요한 미네랄과 다양한 종류의 비타민을 가지고 잇는 김치!!
이 김치가 발효되면서 생기는 유산균은 요구르트의 4배에 이를만큼
많아서 암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알려져 있지요.
이와 같이 김치의 우수성을 아이가 제대로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아주 좋은 시간이 되었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