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긴밤 - 제21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보름달문고 83
루리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21회 문학동네 어린이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루리 작가의 그림동화 긴긴밤에 대한 후기를 며칠 전 블로그 이웃의 글에서 보게 되었다. 아마 평소에 눈여겨보던 블로그 이웃이 아니었다면 그저 그런 동화책으로 치부하고 그냥 넘겨버렸을 지도 모를 책이었다. 하지만 언제나 내게 배울 점을 한가득 안겨주시던 이웃이었기에 차근차근 읽어보고는 기존의 어린이 문학과는 결이 다름을 알게 되어 바로 읽어보았다. 아마 내용을 읽어보면 누구나 이 도서는 나이와 관계없이 가슴에 무언가를 남긴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제21회 문학동네 어린이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루리 작가의 그림동화 긴긴밤의 줄거리부터 살펴보자. 지구상에 마지막 남은 흰바위코뿔소인 노든은 코끼리 고아원에서 자랐다. 어린 마음에 자신이 코끼리와 다름을 느끼지만 코끼리들이 자신들도 어릴 때 그랬다는 말에 아직 코와 귀가 덜 자란 줄로만 알고 자랐다. 그곳의 할머니 코끼리는 오히려 그런 외모가 무슨 상관이냐는 식으로 아래와 같은 말을 하며 코가 자라지 않는 것도 별로 문제가 아니라고 말한다. 오히려 코가 긴 코끼리는 많으니까 자신들과 있으면 된다고.


​​




이곳에 사는 코끼리들은 일정한 나이가 되면 인간들이 테스트를 하여 일부는 자연으로 돌려보내고, 일부는 이곳에서 지내게 한다. 바로 사방이 철망으로 둘러싸인 곳으로 데리고 가서 큰 소리를 내면서 무섭게 군 후 먹이를 주었을 때 이것을 받아먹으면 고아원에, 도망을 가면 자연으로 보내준다. 사람들은 이때 이 아이의 습성을 자신들이 테스트한다고 하지만 이때 코끼리는 자신이 살고 싶은 곳을 미리 정하여 그에 따라 인간이 정하도록 연기를 한다고 한다. 





노든은 이곳이 좋지만 바깥세상이 너무 궁금했다. 그래도 자신이 이곳에 남으면 가족들이 좋아해 줄 것이라고 막연히 생각했으나 이들에게서는 전혀 다른 대답이 들려왔다. 그리고 이곳에서 훌륭한 코끼리가 되었으니 이제 밖으로 나가 훌륭한 코뿔소가 되는 일만 남았다며 격려까지. 그래서 노든은 밖으로 나간다. 자연에서 사는 게 너무나도 서툰 그였지만 그것을 보고 특별함이라는 이름을 붙여준 여자와 함께하며 딸까지 낳는다. 언제까지나 행복할 줄 알았던 그였지만 인간들의 욕심에 의해 아내와 딸을 한 번에 잃고 만다.





이때 상처를 입은 노든은 인간들에게 발견되어 동물원으로 오게 된다. 이곳에서 만난 바깥세상에 대한 동경이 큰 또 하나의 코뿔소 앙가부. 그래서 둘은 탈출을 하려고 노력한다. 아내를 잃은 곳에서 다쳤던 다리가 아파 저는 모습에 잠시 병원으로 옮겨간 틈을 타 욕심 많은 인간이 와서 앙가부의 뿔을 잘라가서 죽고 만다. 동물원 관계자들은 또 같은 일이 벌어질까 봐 미리 노든의 뿔을 일부 잘라버린다. 그로서 이제 흰바위코뿔소는 지구상에 마지막으로 뿔이 잘린 채 한 마리 남게 된다. 







같은 동물원 펭귄 마을에서는 언제나 하얗고 이쁜 알만 있었지만 갑자기 점박이의 못난 알이 어디선가 생기면서 다들 알을 멀리한다. 그러나 수컷 펭귄 치쿠와 윔모는 정성스럽게 알을 서로 품는다. 그러던 어느 날 이곳에 전쟁이 발발하고 동물원도 초토화가 되면서 웜모는 죽고 치쿠는 알을 통에 담아 물고 노든과 함께 도망을 간다. 노든은 자신이 아내에게 배운 대로 자연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치쿠에게 알려주지만 사막을 건너는 바다를 찾는 일은 치쿠에게 너무 힘이 들어 어느 날 죽고 만다. 알을 꼭 부화시켜서 키워달라는 유언과 함께.






제21회 문학동네 어린이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루리 작가의 그림동화 긴긴밤 결말은 어떻게 되었을까? 노든은 알을 잘 부화시켰을까? 언제나 복수심에 불타던 노든은 인간에게 복수를 했을까? 희고 이쁜 알이 아닌 알에서는 어떤 펭귄이 나왔을까? 노든은 이 아이를 바다에 무사히 데려다주었을까? 이 작품에서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까지 눈을 뗄 수 없도록 만드는 것은 곱고 아름다운 동화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차갑고 냉정한 세상에 대한 부분이 매우 잘 나타나 있어 성인을 위한 동화책이라고 하기에도 손색이 없으라 정도이다. 







먼저 노든의 생애를 보면 태어났을 때부터 부모는 없었으며 독립을 하고 나서는 자신의 유일한 가족인 아내와 딸을 무자비하게 잃게 된다. 이후 그나마 마음을 붙일 수 있었던 앙가부조차 이를 갈면서 싫어하던 인간들에 의해 빼앗기게 된다. 삶의 의지를 잃어갈 무렵 하루 종일 떠드는 치쿠로 인해 앞으로 묵묵히 나아갈 수 있었으며 상실의 아픔을 느낄 새도 없이 알에서 부화한 아기 펭귄을 만나게 된다. 이렇게 행복을 느끼는 작은 순간과 상처와 상실의 고통을 느끼는 긴 시간. 이것이 우리의 삶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 아닐까?






또 눈에 띄는 부분은 죽을 것처럼 힘든 순간에도 항상 누군가가 옆에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것이 노든과 같은 코뿔소인 적은 딱 한 번밖에 없었다. 대부분은 너무나도 다른 종이어서 서로의 단어조차 가늠하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다르지만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순간 그들은 서로 살아야 할 이유와 앞으로 나아갈 힘을 나누게 된다. 동화여서 종이 아예 다르니 더욱 확연하게 보이지만 우리 개개인도 어떻게 보면 다 하나의 다른 종의 동물이라고 볼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나와 같은 사람이라는 범주에 타인을 집어넣기에 다름을 인정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우리는 아예 종이 다른 반려동물을 더 선호하고 더 사랑하는 것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들이 끊임없이 일어나게 만든 제21회 문학동네 어린이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루리 작가의 그림동화 긴긴밤이었다. 인간관계 때문에, 모든 우주가 나를 배척한다는 마음이 느껴질 때 읽으면 좋을 책이다. 물론 그 이외에도 교훈적인 내용이 많기에 어린이와 읽기에도 손색이 없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