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괴짜 선생님의 수학사전 - 수학을 품은 우리말 223가지
김용관 지음 / 생각의길 / 2019년 1월
평점 :
품절


어려울 때가 많은 이 수학을 왜 배워야 하지? 배워서 어디에 써먹으려고... 계산하거나 디자인을 하거나 많이 쳐줘야 집합, 벤다이어그램, 도표 정도 사용하는 거 같은데 이 어려운 수학을 왜 배워야 되는 거야 하는 생각을 품은 적이 있다. 물론 지금도 가끔 품는다. 어느 때처럼 이 생각을 품고 있던 때 우리말을 수학으로 풀어냈다는 어느 괴짜 선생님의 수학사전을 접하게 되었다. 이 책을 처음 봤을 때 드는 생각은 디자인이 예쁘다 였고 그 이후 서문을 통해서는 디자인만큼이나 통통 튀는 뭔가를 얻어 가겠네라는 느낌표였다.

아래 사진처럼 어느 괴짜 선생님의 수학사전은 책을 차례차례 읽지 못하고 왔다 갔다 할 우리를 배려해 목차에 페이지와 우리말을 다 적어주셨다. 처음에는 차근차근 차례에 따라 읽었지만 머지 못해 저자가 첫 페이지부터 읽어 가는 촌스러운 짓은 하지 않겠지라는 말에 뒤늦게 자극받아 (?) 왔다 갔다 거리며 읽었다. 사실 하나씩 꼼꼼히 읽으려 하니 지루해졌지만 홍길동 마냥 이리저리 다니니 수학을 왜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었다.




평소 같으면 그저 지나쳤을 우리말들도 새롭게 다가왔다. 기존에 알던 뜻에 수학적 뜻이 더해지거나 수학과 관련된 이야기가 담겨있으니 더 새로웠나 보다. 무엇보다 어느 사전에서도 접하지 못할 내용들이었기에 어느 괴짜 선생님의 수학사전을 며칠에 나눠 읽게 되었다. 223가지의 우리말이 담겨있기에 재밌는 표현도 많았지만 그중 몇 가지만 보면 다음과 같다. 차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겉/ 속 그리고 안/밖 부분은 이제까지는 생각 없이 그저 나오는 적합한 표현으로 썼는데 이렇게 보니 한국인이 아니면 이 말이 참 어렵겠다는 생각과 더불어 이 뜻을 이제라도 알게 되어 다행이라 생각됐다.

역사 시간에 자주 등장하는 두만강 또한 고려 시대 때 두맨이 10000(만)을 뜻했다고 하니 이 또한 새로움이었다. 이외에도 빵점, 할망구, 지름길, 그리고 지성이면 감천이다도 있었다. 빵점은 흔히 0점일 때 빵점이라고 말하곤 했는데 실제로 이 단어에는 0점이라는 뜻이 없다고 한다. 그저 도넛의 둥근 모양이 0과 비슷해 불린 거라던... 지름길로 가로질러서 와라는 말도 사용해 본 내게 지름길에서 지름이 원의 지름과 같다는 거 또한 초등학생(?) 때 풀어내던 최단거리 문제가 이와 같았지 않았나 하며 생각해볼 것도 없는 문제였다는 추억(?)에 잠기기도 했고, 고등학생 때 손끝에서 여러 번 풀어내렸던 극한이 지성이면 감천이다 와 같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할망구는 90세를 바라보는 망구라는 뜻이었다 하니 이 또한 신기했다.



부록에 있는 가로세로 수학 퍼즐은 페이지가 잘 넘어가지 않을 때 풀어보라던 말씀처럼 그때 이 페이지를 열어보면 어서 읽고 채워 넣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여러 재미를 볼 수 있던 어느 괴짜 선생님의 수학사전은 출판사로부터 서평단 자격으로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