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풀니스를 찾아서 - 한스 로슬링 자서전
한스 로슬링.파니 헤르게스탐 지음, 김명주 옮김 / 김영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팩트풀니스를 찾아서]
한스 로슬링 자서전

세상을 위해 노력한 또 한 인물의 자서전을 읽으며
편견에 사로잡히지 않으며 세상을 정확히 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함을 느낀다.

1. 문맹에서 학문으로

학문적 시작이 이루어진 터전,
부모님과 주변 사람들, 그외의 환경적 요소들.
가난하고 무지하지만 인간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세우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그의 성격 또한 올곧았다는 점.
가난에 대한 태도와 시각이 남달랐음을...

p. 15
"신을 믿느샤 믿지 않느냐는  중요하지 않아. 중요한 건 인간을 대하는 태도란다.“

2. 세계를 발견하다

문제 상황이 닥쳤을때 아내 앙네타의 결단력이 인상적이다.
그리고 아내와 합의한 것에 대한 저자의 적극적인 반응도.
사실 이 부부가 당연한 건데도
그러지못하고 불분명하고 불평등하게 반응하는 우리가 문제일지도...ㅎㅎ(특히 남녀 관계에서...)

암이라는 병마 후에도 자신이 하고싶은 일을 선택하는 확고한 의지도 배울 점

p. 80
우리는 어떤 인생을 살고 싶은가?
만일 내가 몇년밖에 못 산다면 원하는 일을 하면서 그 시간을 보내는 게 가장 좋지 않을까?

실제 큰 병에 걸리는 경우 조금이라도 오래 살기 위해 자신이 하고픈 일을 포기하게 된다.
그런데 이 부부는 자신이 하고픈 일을 선택했다.

3. 나칼라로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기!
하지만 그는 지금 내 앞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더 넓은 관점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으려 노력했다는 것.
바로 그가 가진 힘, 지혜!
그리고 그 지혜는 학문에서 얻기도 하나 삶을 지탱해나가며 얻는 것이 훨씬 대단하다.

p. 96
어떤 변화가 가장 중요한가? 그리고 어떤 변화가 쉬울까?
바꿔야 하는 것부터 먼저 바꾸고 나머지는 때를 기다려라.

4. 의료에서 연구로 / 5. 연구에서 강의로

p249
그것은 세계보건에 관심 있는 예비 수강생들이 중환자 치료 과목을 선택한 학생들보다 세계 보건에 대해 더 많이 알지는 못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세계 보건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들이
보편적 보건 의료 발전을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것.
나도 그만큼 무지했음을 실감하는 시간.
음... 팩트풀니스를 읽어야 할듯.

6. 강의실에서 다보스로

p279
지난 수년간 기후변화를 일으킨 데 대한 비난이 인도와 중국에 체계적으로 전가되는 방식에 나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근거는 그 나라들의 총배출량이었다. 두 나라가 다른 나라들보다 인구가 월등하게 많은데도 불구하고 말이다.(중략)
그 논리에 따르면 인구가 1,000만 명인 스웨덴은 총인구가 적기 때문에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어마어마하게 많아도 괜찮은 것이다.

7. 에볼라
전염병에 대처하는 모습이 지금 우리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어려운 곳에 다다라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행동하는 연구자'의 면모가 멋지다.

p356
그곳이 스바르테의 해변이든, 다보스의 세계경제포럼이든, 나칼라의 병원이든, 그는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지, 세상만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싶은 욕구에 이끌렸다. 그리고 이해했다고 생각할 때까지 절대 굴복하지 않았다. 변화 의지는 이해의 깊이에 달려 있다. 이는 그가 평생 자신의 일에 어떻게 접근했는지를 요약해 보여주는 문구이다.

내가 얼마나 무지하고 편견에 사로잡혀있는지 느끼게 해준 책.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려면 정확히 알고 손을 내밀어야 진정한 문제 해결에 다가갈 수 있음을...
그리고 정확성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한 한스 로슬링의 열정적 삶이 가슴 뭉클!
‘팩트풀니스(사실충실성)’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