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동 - 학벌주의와 부동산 신화가 만나는 곳
조장훈 지음 / 사계절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벌주의가 가지고 온 욕망가득한 대한민국 사교육의 민낯,
그리고 그 욕망을 이끌어가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단상 1
학벌주의가 가지고 온 대치동이라는 사교육 최전선의 모습.

좀더 높은 계급으로 올라가고자 하는 욕망과
대학입시라는 단 한번의 통과의례에 치열하게 뛰어드는 사람들.

무엇보다 대입과 사교육의 현실을 너무나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짜증이 나면서도 쓴웃음 지으며 고개 끄덕일 수밖에 없는 현실...
저렇게 치열하지는 않았지만 나도 두 아이를 대학에 보내며
많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으니까.

p36
참가자 스스로 절벽에 선 듯한 느낌을 받을 정도로 불평등과 차별의 세계를 만들어내는 거대한 카지노.

저자의 주장이 전적으로 옳다싶지는 않지만....
논술강사라 역시 논술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모습이 살짝 귀엽기도...

p66
정치적인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은 이 글의 목적이 아니다. 다만, 어느 시대, 어느 나라의 교육이 글쓰기를 외면하고 성공한 적이 있는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가보지 못했던 대치동의 학원가에 대한 묘사에
호기심과 더불어 살짝 불편함을 느끼기도...
내가 이걸 왜 읽고있나 하는...
하지만 문득 궁금해진다. 그래서 어쩌라는건가?
그건 4부에 나온다.

단상2
사교육과 공교육에 저자가 하고싶은 말.

저자는 대치동 사람들에게 비판적인 듯 비판적이지 않다.
‘모두가 투사가 될 수는 없다.’는 소제목에서 느낄 수 있는 것처럼
잘잘못을 떠나 저자도 어쨌든 그들의 욕망을 인정하고 있고
또 그것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이니까.
하지만...!!!!!!!

p105
대부분의 사람은 세상의 모순과 억압에 적당히 타협하면서 때로는 그 모순에 편승하고, 때로는 그 왜곡된 구조를 이용하며 비루한(?) 삶을 지속한다. 타인이나 사회에 직접적인 해를 입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런 삶이 꼭 비난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대입제도가 불평등과 혐오를 양산하고, 그 공정성에 대한 사회적 불신을 초래하고 있는 것과는 별개로 제도가 요구하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않으면 누군가는 취업 전선에서, 누군가는 임금에서 당장의 차별과 불이익을 경험해야 한다. 차별과 부당함에서 벗어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그 모순된 세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거기서 낙오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마지막 4부에서야 공교육과 사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 있는데
조금은 뜬구름 잡는 이야기.
이 부분에 대한 고민은 우리들의 몫.

p333
공교육의 몰락은 학원 사교육 탓이 아니다. 공교육과 사교육은 애초에 목적이 다르다. 공교육은 일정 정도의 지성과 사회 참여 의지를 가진 시민을 육성하고, 그 시민이 각자의 개성과 적성을 살려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입시에서의 성공만을 목표로 하는 학원 사교육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p380
자녀의 안위와 성공을 위해 교육에 맹목적으로 매달리는 대치동 학부모의 애끓는 모정과 부정은 그 자체로 성스럽기도 하고 함부로 나무랄 수 없다. 그러나 그들의 과도한 교육열이야말로 입시 및 교육 제도의 개혁을 가로막고 그 빈틈을 찾애내 제도를 내부로부터 붕괴시켜온 원인이기도 하다.

단상 3
그래도 투쟁해야 하고 변화하고 있다는 희망.

학교 또는 사회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학벌이 아닌 행복에 가치를 두는
사람들.
명문대나 대기업이 아닌 자신이 하고싶은 일에서 진로를 찾으며 치열하게 나아가고 있는 아이들.
그래서 조금씩이지만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는 희망.
현상이 아닌 본질에서 답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전적으로 나의 생각, 느낌.

저자는 끝까지 진지하다.
치열하게 고민하고 분석하였음을 느낄 수 있었다.
이 글들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는 독자의 몫.
긍정적, 부정적인 많은 생각과 이야기를 만들어낼 책.

가장 아쉬운 부분은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가 없는 것.
교육의 주체가 되어야 할 아이들은 이 책에 없다.
학벌을 쫓는 학부모와 이들이 찾는 학원 사람들, 일명 입시전문가(?)들의 치열한 모습만이...
이때 아이들은 끌려다니거나 틀어박혀 공부공부, 또는 실적실적하고 있는걸까?

우리 아이들은 정말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존재들인가?
우리 아이들을 그렇게 수동적인 모습일까?
정답은 우리 아이들이 스스로 찾도록 해야 한다는
아주 구태하지만 명료한 생각만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