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는 어떻게 진실을 말하는가 - 넘겨짚지 않고 현실을 직시하는 71가지 통찰
바츨라프 스밀 지음, 강주헌 옮김 / 김영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 넘겨짚지 않고 현실을 직시하는 71가지 통찰

 

인간은 세상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고 싶어한다.

어떤 현상을 파악하고 미래를 보여주고 싶을 때

 '~~카더라'보다 더 신뢰성 있으려면 어떤 근거를 들이대야 할까?

우리가 절대 틀리지 않는다고 믿는 숫자, 

그 숫자의 의미와 적절한 맥락을 보여주는 통계를 통해 세상을 보기 위해

알아야 할 내용.

 

인구, 식량, 에너지, 기술, 환경 그리고 국제정세까지

다양한 데이터와 통계 분석으로 보여주는 진실들이 재밌게 펼쳐진다.

 

p30

이런 범세계적 출산율 변화는 인구와 결제에 전략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1900년 유럽 대륙에는 세계 인구의 약 18펴센트가 살았지만, 2020년에는 9.5페센트만이 살아간다. 반면 2020년 현재 아시아는 세계 인구의 60페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유럽의 중요성은 줄어들고 아시아가 크게 부상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출산율 덕분에 2020년부터 2070년가지 향후 50년 동안 모든 신생아의 약 75페센트가 아프리카에서 태어날 것으로 에상된다.

 

어떤가?

미래의 어떤 국가가 세계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칠것라고 예측할 것인가?

 

역시 나는 이런 이과적 주제가 더 재밌다는 건 안비밀...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