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명적 동반자, 미생물 - 병원균은 어떻게 인간의 역사를 만들었는가
도로시 크로퍼드 지음, 강병철 옮김 / 김영사 / 2021년 6월
평점 :
코로나19로 미생물이나 전염병 관련 서적들이 많이 눈에 띄는데
이 책만큼 미생물의 역사(?)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는 책은 없을 듯.
마치 인간의 역사를 그리듯
미생물이 어떻게 발생하고 쇠퇴하거나 진화하고 살아남았는지
과거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던 역사적 사건들부터
그리고 지금 현재의 세계적 현상까지 섬뜩하기까지 하다.
말라리아와 수면병부터
홍역, 역병, 페스트, 천연두
마름병, 장티푸스, 결핵까지... 많기도 하다.
그때는 원인을 알지도 못했던 질병과 전염병들이
어떻게 발생했고 인간은 어떻게 싸웠는지.
미생물들은 또 어떻게 살아남았는지...
그리고 지금 미생물과 인간이 어떻게 공존하거나 싸우고 있는지...
p157
하지만 페스트균이 섞인 피를 빨면 사정이 달라진다. 벼룩의 위에서 증식한 세균이 공 모양으로 뭉쳐 밸브를 무력화하기 때문이다. 벼룩은 다른 동물의 피를 빨면서 위 속에 들어 있던 것들을 토해 낸다. 그 속에는 페스트균이 많을 때는 2만 5,000마리까지 들어 있다.
이제는 벼룩이나 쥐, 모기가 어떻게 병균을 옮기는지
한 지역에서 발생한 전염병이 전세계로 어떻게 퍼져나가는지
그리고 바이러스의 유전적 구성까지 자세히 파악하고 있지만
지금 이순간에도 바이러스는 또 진화하며 변이하고 있다는 것.
그들만의 대응방법을 찾아 살아남기 위해 투쟁하고 있다는 것.
1969년 미국의공중보건국장이
“이제 우리는 감염병이란 책을 덮어도 될 것입니다.”라고 선언했다고 하는데
그 이후에 AIDS, 에볼라, 사스등 여러 감염병이 유행하며 전 세계를 휩쓸었다.
인간의 오만이 드러나는 말이다.
p327
우린의 느린 진화 속도는 미생물의 다양성 및 신속한 적응력과 상대가 안 되기 때문에 적어도 당분간은 미생물이 계속 우리를 앞질러 나가리라 인성잫 수밖에 없다. 실제로 우리가 개발한 대부분의항생제는 다름 아닌 미생물에서 유래한 것이다. 미생물은 다른 미생물이 생산하는 다양한 물질과 수백만 년간 상호작용을 해왔으므로 우리가 어떤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더라도 견딜 방법을 찾아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지금 우리를 괴롭히고 있는 바이러스의 공식 명칭은
SARS-CoV-2(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이고
이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병의 이름이
COVID-19(코로나바이러스 질병-19)이다.
코로나19를 물리치기 위한 백신이 나오고 치료방법이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바이러스와 숙주인 인간 사이 투쟁의 역사에서
아직 우리가 열세인듯.
하지만 우리는 또 생존하기 위해 그리고 새로운 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
#메디컬조선 에 이어
코로나19를 물리치기 위해 끈질기게 애쓰고 계신
의료진들의 모습이 떠오르는 책.
미생물이 전염되는 모습을 자세히 알게 되니
쥐나 벼룩, 모기가 무서워지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