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이상 국가를 만들까? - 유토피아의 역사에서 배우는 미래를 위한 교훈 굿모닝 굿나잇 (Good morning Good night)
주경철 지음 / 김영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토피아의 역사에서 배우는 미래를 위한 교훈-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가 전하는
역사학자가 본 시대별 유토피아의 역사와
그 꿈이 시대에 미친 영향.

시대마다 꿈꾸던 유토피아가 달랐고
그들이 꿈꾸던 국가는 거의 허무맹랑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그들은 모두 함께 행복할 수 있는 국가를 꿈꾸었고
그 꿈에는 당시 국가가 처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픈
희망이 반영되어 있었던 것.

근대 빈부격차 없는 국가를 꿈꾸었던
토마스모어 [유토피아]

종교개혁 이후 혼란기에 종교적 전제국가를 그린
톰마소캄파넬라 [태양의나라]
과학혁명 시작기 과학기술이 발달한
풍요롭고 강력한 국가를 이상 국가로 그린
프랜시스베이컨 의 [새로운아틀란티스]

이후 계몽주의 사조를 따른
볼테르 [캉디드]에서
‘엘도라도’를 꿈꾸며 구체적인 실천과 개선을 강조한다.

자본주의의 병폐를 비판하고
찬란한 사회주의 이상사회를 그린
밸러미 [뒤를돌아보며]
모리스 [에코토피아뉴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아이작아시모프 [아이로봇]을 시작으로
로봇이 가져올 미래 사회가
유토피아로 남을지, 디스토피아로 남을지 질문을 던진다.

시대별로 꿈꾸던 국가를 살펴보며
우리가 꿈꾸는 이상 국가는 어떤 모습이어야할 지,
지금 우리 사회가 풀어가야할 문제는 무엇인지
되돌아 보는 기회를 가졌다.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의 정체성에 대해
그리고 끊임없이 제기되는 사회적불평등에 어떻게 대처할 지 관심을 가지고 숙고해 봐야겠다는 결심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