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의 흑역사 - 인간은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한다
톰 필립스 지음, 홍한결 옮김 / 윌북 / 202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거짓의 기원과 거짓이 난무하는 분야에서 벌어졌던 개소리의 사례들...
재밌게 펼쳐지는 유머 넘치는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조금은 진실에 가까워지는 느낌?

진실은 왜 어려울까?
진실은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거짓은 무수히 많다.
우리가 끊임없이 진실을 추구하지 않는 한 거짓에 빠질 수밖에 없는 이유.

p29
거짓말 하나가 지구 반 비퀴를 도는 동안 현관문을 나서지 못한 거짓말도 수천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게다가 거짓말이나 속임수는 인간만의 특징이 아니라 자연적인 현상.
진화과정에서 똑똑한 동물들에게 나타난 능력.
가장 똑똑하다는 인간은 오죽하랴~!ㅎㅎ

p39
이렇듯 속임수는 자연계의 일부이니 우리가 가끔 거짓말 좀 한다고 해서 너무 자책할 필요까지는 없을 것 같다.
기만은 자연적인 현상일 뿐 아니라, 진화 과정에서 점차 발전한 능력인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지금도 그런 세상에서 그렇게 살고 있다!
가짜 뉴스, 허위 정보는 오늘날에만 있는 일은 아니라는 것.
뉴스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면서부터, 아니 그 훨씬 이전부터
거짓 뉴스를 만드는 사람들, 그 뉴스에 놀아나는 사람들이 있었다.
조금만 따져보면 터무니없다는 걸 알 수 있는 이야기들이
사실로 믿어지고 부풀려졌던 사례들은 어이가 없으면서도 또 쉽게 이해되는 느낌..
지금 우리도 그렇게 살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에...

p108
이렇게 일을 터무니없이 부풀리는 재주, 그리고 착각으로 밝혀진 개념도 끝까지 붙잡고 놓지 않는 완고함이야말로 언론이 오보를 내는 원리다.

p118
농간의 장본인이 여러 신문의 지면을 통해 직접 농간을 시인하였건만, 거짓말이 퍼지는 것을 막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p231
그리고 빠르게 깨달았다. 자기가 성공하기 위한 관건은 진실과 신뢰가 아니라, 자자한 악명 그리고 흥미로운 이야깃거리 공급 능력이라는 것을.

거짓 뉴스, 거짓 정보, 사기꾼, 정치인의 거짓말, 장사꾼의 거짓말 등
거짓말이 판을 치는 무수한 사례들을 보며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지금 우리는 달라졌을까?
그리고 우리는 정말 진실을 알고 싶은걸까?
물론 풍자니 패러디니 농담처럼 유머 가득한 표현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거짓이 되는 사례들도 많았다고 하는데.....

p245
우리는 스스로를 엄청나게 잘 속인다. 착각도 잘하고, 귀도 얇고, 대세를 거스르기 두려워한다. 그래서 사회 전체가 개소리 순환고리에 빠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p266
물론 우리가 반쪽짜리 진실과 애매한 거짓말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는 건 맞다. 세상은 복잡하고 말이 안되는 데다가, 세상 돌아가는 걸 정확히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우리 뇌는 처음부터 그렇게 생겨먹었으니까.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게 위기는 아니다. 세상은 원래부터 그랬다.

거짓을 이기기 위해 우리가 노력할 일!
진위 확인을 위해 노력 장벽에 맞서야 한다는 것,
정보 공백을 메우려 노력해야 한다는 것,
진실에 접근했을 때는 열심히 축하해줄 필요가 있다는 것.

거짓말에 대한 이야기하며 진실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책.
군데군데 위트있는 표현들이 재미를 더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