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바라는 나로 살고 싶다 - 추구하는 대로 사는 존재의 기술 테드 사이콜로지 시리즈
브라이언 리틀 지음, 강이수 옮김 / 생각정거장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성격대로, 내가 생각한대로 하고 싶은 것을 하면 성격도 달라진다!

성격에 따라 행동이 바뀐다고 믿고 살아왔다.
성격은 바꿀 수 없고 생긴대로 사는 게 행복한 거라고.
하지만 이 책에서는 다르게 말하고 있다.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
그리고 어떻게 지내고 있나?
두가지 질문에 긍정적이고도 발전적인 답변을 제시해 주는 책.

자아의 3가지.
1. 생물발생적 특성: 타고난 자아
2. 사회발생적 자아
3. 제3의 본성, 특수발생적 자아

타고난 자아와 사회발생적 자아는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기만 한다.
그러나 특수발생적 자아는 다르다.
우리가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기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행동에 따라 스스로 성취를 이루는 주체가 될 수 있는 건
바로 제3의 본성, 특수발생적 자아 때문이다

p9
사람들은 ‘성격에 따라’ 행동하는 게 아니라, ‘행동에 따라’ 성격이 달라진다.

p49
우리는 주변을 두루 이해하기 위해 능동적인 시도를 거듭하며 삶의 주체가 되어 인생을 개척한다. 이 시도는 아주 개인적이고 독특하며 사람마다 고유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특수발생적’이라고 한다.

우리는 특수발생적 자아 때문에 끊임없이 무언가를 추구하고 있으며
그것을 ‘퍼스널 프로젝트’라고 부른다.
2장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당신의 행위는 당신의 존재보다 힘이 세다.’
바로 퍼스널 프로젝트를 어떻게 성공시키느냐에 따라
성격도, 행동도 삶도 달라질 수 있음이 포인트.

p61
"퍼스널 프로젝트는 고유한 특성을 가진 개인이 각자의 맥락에서 실행하는 지속적인 행위들의 모음이다.“

한 사람의 성격과 인생 운영 능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가지 자아의 원천과 상호작용을 이해해야 한다.

물론 기질적인 제1자아를 벗어난 행동을 할 수도 있고(자유 특성),
자유 특성을 발휘하느라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본래의 자기 자신과 다시 연결시키는 ‘틈새 회복’시간을 가져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건 진정한 나다움-진정한 자아를 벗어났기 때문이 아니다.

p118
사실, 단 하나의 진정한 자아 같은 건 없다. 오히려 사람은 여러 특성이 결합된 ‘복합 진정성’을 발휘한다. (중략) 그렇지만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진정성을 갖는다고 해서 윤리적이 못하다거나 솔직하지 못하다는 뜻은 아니다. 이중인격은 더더욱 아니다.

성격의 5대 특성 검사를 시작으로 나 자신에 대해 깊이 생각하며 읽어나갔다.
지금까지 알아왔던 나 자신과는 다른 나를 알아나가는 느낌?
아니, 나 자신을 조금은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게 되었다고 해야 할까?
그리고 나는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다.

p137
웰두잉(Well-Doing): 우리가 핵심 퍼스널 프로젝트를 꾸준히 추진하며 만들어나가는 삶의 과정

성격대로, 내가 생각하는 대로 살며 행복해지는 방법, 바로 웰두잉(Well-Doing), 명심하기!

짧지만 임팩트있게 파고드는 책,
자아를 찾고 행복해지는 방법을 찾는데 도움받을 수 있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