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이 만든 공간 -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유현준 지음 / 을유문화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과 서양의 지리적 기후 차이로 시작된 생각의 차이, 문화의 차이가 공간을 만들어 나가는 건축의 차이를 발생시키고
서로 다른 동서양 건축이 융합해 가며 새로운 건축 양식이 만들어지고 진화했다.

건축사 발전 과정을 각종 학문적 배경을 토대로 설명하고 미래까지 예측해놓은 책.

p25
건축물은 그 시대의 지혜와 집단의 의지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결정체로, 그 시대와 그 사회를 대변한다.

p32
인간의 건축 행위는 일차적으로는 물체를 만드는 것이지만, 최종 목적은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한 한기 흥미로운 건축사 강의를 죽 연결하여 들은 듯,
건축학에 대해 문외한인데도 재밌게 술술 읽힌다.
건축만큼 다양한 전공 분야에 걸쳐서 연관된 곳도 없는 듯하다.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들을 보면서 그 속에 담긴 미쳐 알지 못했던 배경을 알게되니 공간이 다시 보인다.

p145
강수량이라는 환경 요소가 동서양에 두 가지 다른 공간적 특징을 만들었다. 서양에서는 벽으로 공간의 경계가 명확하게 나누어져 있다. 서양 건축의 지붕에는 처마도 거의 없다. 반면 동양에서는 띄엄띄엄 놓인 기둥과 긴 처마로 인해 내외부 공간의 경계가 모호한 특징이 있다.

p192
외부의 색다른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문화권이 새로운 변종을 만들어 내게 되고, 그것이 시간이 지나면 시대를 이끄는 매력적인 문화가 된다는 것이다.

p338
다른 학문 간의 소통을 가로막는 벽에 구멍을 뚫어서 문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가장 먼저 해 낸 분야는 건축이었다.

건축의 발전사는 공간을 어떻게 보느냐하는 문화적 관점의 문제이면서 새로운 생각을 만들어내는 건축가의 창조를 향한 사명인듯

작가는 처음부터 끝까지 동서양의 문화 교류를 통해 새로운 생각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명료하게 설명하고 있다.
지리 과학 역사 수학 철학 등 여러 학문들을 총망라하여 설명하는데 그 배경지식이 방대하다.
건축뿐 아니라 동서양의 학문적 배경이나 게임까지 왜 차이가 생겼는지 알려주고 있어 이 책 한권을 읽고나면 많이 유식해진 기분.

고대부터 현대까지 동서양의 다양한 공간을 돌며 여행하고 온 기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