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르부르의 저주 - 귀족 탐정 다아시 경 1 행복한책읽기 SF 총서 6
랜달 개릿 지음, 강수백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예전 그리폰 북스에서 '다아시경의 모험'으로 나왔을 당시에 한번 읽고는 구입은 하지 않았는데, 이번에 행복한 책읽기에서 SF 물을 시리즈로 낸다고 하는데 포함된 이책을 산 것은 순전히 '팔아 줘야 다음 시리즈가 나온다'라는 의무감에서였다. (그리폰 북스가 안나오게 되었을 때, 그때 그냥 사둘 것을 하고 후회하기도 했었고.)

예전에 읽을 때는 '왜 이책이 SF냐?''니가 홈즈냐?'등의 반감이 꽤나 들었던 기억이 있었으나, 정작 나이 들어 다시 보니 즐겁기만 하다.

평행 세계라고 할까, 리처드 사자왕이 장수하면서 훌륭한 왕이 되어서 세계의 역사가 바뀐 세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영불 제국과 폴란드 제국이 세상의 양대 축이라니, 좀 배알틀리는 설정이지만 그냥 넘어가주자. 귀족의 의무니 어쩌니 하는 것도 그냥 힘을 빼고 보니 꽤나 재미있는 논리이다. 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재미있는 것은 '마법'의 '과학화'이다. 이 세계에서는 마법이 과학화되고 공인화되어서 아주 엄밀한 논리체계하에서 실행된다. '국왕폐하의 주임 수사관'이신 다아시경의 왓슨, 마법사 숀의 입으로 주로 설명되는 '마법'의 체계는 '~의 법칙'이라는 식으로 책 속의 세상에서는 아주 논리적으로 들어 맞는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이 책에서 마법=과학의 등가식을 보면서 '강철의 연금술사'에서의 연금술=과학의 등가식이 생각나는 것도 세월에 의한 것이겠지.)

세계관과 조연은 꽤나 매력적인데, 정작 주인공이신 다아시 경은 꽤나 무미 건조하다. 적어도 여기 실린 여러 이야기 중에서 '전쟁 마술'편을 제외하면 (그러니까 애초에 그리폰 북스에서 나왔던 '다아시경의 모험'에 해당하는 이야기들) 다아시경의 개인적인 취향과 성격이 드러나는 장면은 거의 없다시피 하다. 오로지 사건을 수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만 드러나 있다는 점이 아쉽다. 다아시 경이 셜록 홈즈나 포와로 등과 같은 기억에 길이 길이 남는 탐정이 되기 위해서는 탐정 본인의 개인적 매력도 풍부히 드러나야 할텐데, 현재까지 이 한권으로는 그런 것 같지 않다. 다음 권들을 기대해 봐야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1-13 23:3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