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문장
에도가와 란포 지음, 주자덕 옮김 / 아프로스미디어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에도가와 란포'로 유명한 그의 본명은 '히라이 타로'로 우리에게 익숙한 '에도가와 란포'는 그의 필명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도 너무나 유명한 '히가시노 게이고'도 <방과 후>라는 작품으로 '에도가와 란포'상을 수상하였다고 한다.
'에도가와 란포'란 이름을 듣고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미국의 문호 '에드거 앨런포'의 이름이 떠오르기 마련인데 추리 소설을 얼마나 좋아했었던지 '히라이 타로' 또한 그의 이름을 따 '에도가와 란포'란 이름을 탄생시켰으니 작가이기 이전에 추리 소설을 사랑했던 독자의 모습 또한 엿볼 수 있다.

일본 추리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에도가와 란포' 수상작에 대한 흥미를 보이는 것은 어쩌면 너무도 당연한 일이지만 정작 '에도가와 란포'에 대한 소설은 미처 읽어보지 못했기에 <악마의 문장>이라는 제목과 더불어 강한 호기심에 얼른 손에 집어들었던 소설이었다.

법의학계의 권위자로 알려진 무나카타 류이치로 박사, 그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민간 탐정과 달리, 경찰들도 해결하지 못한 어려운 미해결 사건을 위주로 수사하는데 최근 그는 H 제당 주식회사 대표인 '가와테 쇼타로'라는 인물에게 의뢰를 받고 있었다. H 제당 대표인 가와테 쇼타로는 최근 한 달 전부터 발신 불명의 협박장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그 내용은 가와테에게 오래전부터 원한을 품고 있었고 그 원한을 복수하기 위해 이제 곧 가와테가의 사람들을 한 명씩 끔찍하게 처리하겠다는 내용이었는데 그것을 의뢰받은 무나카타 박사의 조수는 범인을 수사하다가 독극물에 의한 살인을 당하게 되었고 무나카타 박사는 충격에 빠지게 된다. 그와 더불어 경시청의 나카무라 경감 또한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함께 수사를 진행해가기 시작하는데 곧 범인에게서 첫 번째 복수의 시작을 알리는 우편물이 배달되고 백지 안에서 3중 소용돌이 지문을 발견하게 된다. 그들은 괴이하게 생긴 3중 소용돌이 지문을 보고 경악하게 되는데 3중 소용돌이 지문은 위에 두개의 소용돌이와 아래쪽에는 긴 소용돌이가 비웃고 있는 악마의 모습을 한 특이한 지문으로 범인은 그것을 심리전으로 이용하며 범행을 시작할 때마다 3중 소용돌이 지문을 여기저기서 찍어둬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든다.

무나카타 박사의 조수가 살해당하고 곧 가와테 일가를 향한 범인의 복수를 알리는 첫 신호로 가와테의 둘째딸이 행방불명되고 곧 아름답지만 끔찍한 시체가 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에 경시청과 무나카타 박사는 큰 혼란에 휩쌓이게 되고 곧이어 범인은 두번째 범행 대상과 범행 날짜를 알려온다. 두번째 범행 대상은 가와테의 첫째딸로 가와테의 집 앞 뒤는 물론 둘째딸 방 안과 밖까지 삼엄한 경계를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이튿날 둘째딸은 소리없이 사라지게 되고 일본에서 이름 꽤나 날리던 무나카타 박사였지만 번번이 범인을 놓지고 뒷북만 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소설을 읽는 독자로서도 답답함과 궁금함, 의아함이 한꺼번에 드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단순히 무나카타 박사의 엄청난 명성보다 범인이 지능과 심리전에 능통한 자라고 하기에는 뭔가 놓치고 있다는 생각이 소설을 읽는 내내 자꾸만 들게 되는데 범인과 사건이 하나씩 드러날 때마다 가와테 일가를 둘러싼 비밀과 가와테에게 복수하기 위한 범인의 엄청난 노력과 심리전을 엿볼 수 있다. '사람 하나 죽이려고 저런 노력까지...'라는 말이 목구멍에 걸릴 정도로 범인이 가와테 일가를 죽이기 위한 엄청난 노력에 혀를 내두르게 되면서도 얼마나 원한이 깊었으면 저런 노력도 마다하지 않고 실행했을까..란 생각도 들었는데 범행 대상들을 전시하듯 기이한 모습을 죽인 것을 볼 때 오래전에 쓰여졌음에도 그 잔인함은 요즘의 스릴러 못지 않음에 '에도가와 란포'의 글에서 느껴지는 대담성에 고개가 끄덕여졌다. 시대에 맞지 않아 다소 엉성하게 느껴지는 부분도 없지는 않았지만 우리가 살아가던 시대와 또 다른 시대에 쓰여졌음을 생각해볼 때 당시에는 정말 대단한 작품으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겠다는 어렵지 않은 짐작을 할 수 있었고 역시 그 시대에 이런 작품을 쓸 정도라면 그의 명성은 괜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던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