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문학으로 본 일본문화
문명재 지음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중국 소수민족에 대한 책을 읽다가
소수민족들 사이에 전해내려져오는 설화가 우리나라 설화와 닮은 점이
많다는 것을 보고 재밌어했던 적이 있었다.
배경과 주인공은 각기 다르지만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보면서
인간이 가지고 추구하는 이야기는 비슷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에 나라마다 가지고 있는 건국실화나 종교적인 설화 또한
중국이나 일본, 우리나라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런 호기심들이 설화에 대해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해주는
힘이 아닐까 싶다.

<설화문학으로 본 일본 문화>는 일본이라는 나라가 가지고 있는
설화를 통해 일본, 일본인에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심으로 다가가게 된 책이었다.
우리나라의 설화와 비교하여 어떤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으며
그것들이 구전을 통해 어떻게 재탄생되어져왔고
그것들을 기록으로 남기고 보존하는 그들의 모습 또한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이 있었다.
그런 기대감이 있었기에 이 책을 펼쳐본 순간 적잖이 당황할 수 밖에 없었는데
내가 생각하던 흥미로운 설화들의 이야기가 아닌
일본 설화문학에 대한 교재같은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총 12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본 설화문학에 대한 올바른 접근과 이해에 대한 1장을 시작으로
일본의 설화가 시작된 시초와 각 시대별 개요,
설화문학 연구방법론, 신화의 세계와 불교에 관한 만남,
설화를 통해 보는 여성에 대한 인식, 가족, 효와 불효,
무사의 전형, 도적담으로 본 사회상, 지방관리와 민중의 삶,
애욕의 세계라는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이 있었고 그 후에 일제침략을 당했지만
삼국시대에 보면 외교를 통해 문물이나 책등이 일본으로 전해졌기에
설화 속에 우리나라에 대한 이야기 또한 만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일본 설화는 인도와 중국의 이야기가 스며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중국의 사상이나 힘에 지배받는다는 인식이
있어 배제되었다는 이야기는 불교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새롭게 알 수 있게 되었다.

불교에 대한 설화를 많이 만날 수 있었는데
<니혼료이키>와 <곤자쿠모노가타리슈>를 비교하는 과정에 소개된 설화에서
탑의 건립에 대해 신비함을 더해주기 위해
환갑을 넘은 여인이 회임을 하여 딸아이를 낳았는데
그 여자아이는 한손을 움켜쥔 채 태어난 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나
일곱살 때 손을 폈을 때 그 안에 불가사리가 있었다는 내용은
신선하게 다가왔다.
상상의 동물로서 불을 잡아먹는 동물로의 '불가사리'는
경복궁 자경전의 십장생 무늬에서도 그려져있듯이 그 의미가 남다른데
일본 설화에서 불가사리가 등장하고 있어 '불가사리'에 대한
다른 이야기가 흥미롭게 다가왔다.

소개되는 일본 설화문학들은 그 이야기에 담겨 있는 뜻이
우리의 것과 다르지 않아 정겹게 다가오는 것도 있었고
일본인들에게 불교와 유교의 의미가 어떤 이야기로 탄생되었는지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일본 문학이나 설화문학에 관심이 있거나 강의를 듣는 대학생이나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다소 생소하게 다가오는 일본표기가 낯설게 느껴지긴하였지만
내용이 어렵다거나 지루하지는 않았다.
제목을 보고 흥미를 느꼈지만 일본 설화문학에 대한 흐름을
알 수 있었기에 나름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