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역사, 이것이 진실이다
이태룡 지음 / 북스타(Bookstar)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필광정(史必匡正) 조작된 역사는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같은 민족끼리 역사적 통일을 볼 수 없다는 것이 일반인으로서는 쉽사리 이해가 가지 않는다. 누군가는 일제시대의 잔재를 바탕으로 한 식민사학을 고수하며 자신들의 이익에 침해받으면 언론과 결탁하여 포장하기에 바쁘고 누군가는 진실을 말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우리의 사학계의 현실, 차라리 알지 못하여 마음 편한 것이 더 나았을 수도 있다는 무지한 생각이 스치고 지나가는 것은 한 민족으로써 느껴지는 이 비현실적인 사학계의 조장과 갈등의 골이 깊다는 것에 있다.

우리가 그동안 알고 있었던 역사조작의 중심은 일제 식민사학자가 단연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책에서는 조선의 유학자들이 조작한 '기자조선'과 삼국사를 폄훼하기 위한 삼국사기 이야기가 나온다. 하..... 이게 무슨? 아리송하게 다가오면서 왜이렇게 제목만으로도 허탈함이 밀려오는지 모르겠다. 식민사학이 우리나라 역사계의 구멍이라면서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접하다보면 고조선 이야기까지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단일민족이며 홍익인간 사상으로 알고 배웠던 고조선이 왜 논란의 중심으로 불거진 것일까? 처음엔 이 부분에서 많은 의아함을 가지게 됐었다. 이 책에 등장하는 '군자국'이란 명칭 또한 처음 들어보았기에 호기심이 동하였는데 책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내용들이 문헌들을 참고로하고 있기에 여러 각도에서 역사적인 사실로 접근하는 방식에서 몰랐었던 사실들을 알 수 있다. 사실 여러 책들을 접하다보면 우리가 지금까지 철썩같이 믿고 있었던 역사들이 거짓이라고 주장하는 이야기들에 혼란스러움을 느낄 때가 많았는데 그런 독자들을 위해 문헌들을 실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지금까지 여러가지 역사적인 '설'에 휘둘렸던 독자라면 문헌조차도 쉽게 믿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되는데 아마도 그러한 이유로 인해 책 전반에 걸쳐 문헌을 실은 것이 아닐까 싶다. 평소에 역사책을 가까이 하지 않았던 독자라면 생소하게 느껴질 단어들이 많아 그와 관련된 책을 함께 본다면 더욱 깊이있는 역사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