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대문 2 : 노장과 병법 편 - 잃어버린 참나를 찾는 동양철학의 본모습 고전의 대궐 짓기 프로젝트 2
박재희 지음 / 김영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잃어버린 참나를 찾는 동양철학의 본모습 <고전의 대문 2.노장과 병법 편>​

고전의 대문 1편에는 사서 편으로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이 소개되었었다.

고전의 대문 2편에서는 도교 사상을 펼쳤던 노자와 장자, 손자병법을 만날 수 있다. 첫 들어가는 글에 공자와 노자의 라이벌전이라고 부를 수 있는 첫 대면의 이야기가 흥미롭게 다가오는데 예에 대해서만큼은 자타공인인 공자가 노자와의 첫 대면에서 예에 대해 묻자 그런 공자를 향한 노자의 결정적 한방은 지난 시대의 가치를 이 시대에 다시 펼치려고 하느냐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노자는 공자에게 깊은 조언을 하나 해주는데 제자들을 이끌며 자신의 사상을 설파하려했던 공자에게 평범하게 사는 것도 지혜로운 삶의 방식이라며 교만함과 욕심, 음흉한 속셈을 버리라고 이야기한다. 이 얘기는 사마천이 기록한 내용에 나와있는데 그 내용을 보자면 공자는 노자에게 자신의 장점을 부각시키려다 한마디도 못하고 깨달음을 얻은 일화라 할 수 있겠다. 촌에서 자란 흙수저 공자와 낙양이라는 세계의 중심 도시에서 도서관 사서직을 하며 살았던 노자의 인생은 살아온 삶을 보자면 판이하게 달랐으나 공자의 유교와 노자의 도교의 궁극적인 목표는 혼란의 시대를 마감하고 세상을 통일해야한다는 것이었다. 전란으로 내몰리고 권력에 고통받는 백성들의 삶을 같은 눈으로 바라보았지만 그것을 추궇는 방향은 달랐으니 어찌보면 그 또한 흥미로운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도덕경>의 내용을 보면 비우고 낮추며 섬김의 내용들로 가득하다. 노자의 글 중 유명한 '상선약수'를 보면 물은 아래로 흐르며 모든 만물을 이롭게 도와주지만 자신의 공을 과시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볼 수 있다. 자신을 잘남과 존재를 내세우지 않으며 그럼에도 뒤에서 자신이 맡은 일을 묵묵히 해내는 사람, 그런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노자는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있다. 권력자들이 바라마지 않는 세계를 이끌어나갈 유교의 사상이 아닌 존재감없지만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리더의 부재야말로 노자가 바라는 세상인데 어찌보면 자본주의 세상에 찌들어있는 현 시대에 허울좋은 이상적인 이야기로만 들릴지 모르지만 도덕경의 내용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현 시대를 얼마나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음인지 놀라지 않을 수 없다. 2500여 년전 전란으로 인해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지배 세력들의 권력과 탐욕이 세상을 더욱 피폐하게 만들었던 것처럼 사람들의 욕심은 그때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으니 비우고 버리고 섬기라는 끊없는 노자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 우리에게 전해주는 바가 크다하겠다. 노자의 <도덕경> 을 이야기하며 박재희 교수님은 도덕경은 다 가져보고 다 누려보고 권력을 휘두를 수 있는 사람들이 먼저 읽어볼 것을 권하고 있다. 그 자리에 있어야만 도덕경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는 이야기는 노자가 도덕경을 통해 이루려는 유토피아적인 세상에 그들의 탐욕과 아집이 얼마나 큰 걸림돌이 되는지를 알려주고 있는데 비록 많은 것을 가지고 누려보진 못하였다고해도 노자가 전해주는 이야기는 사람이란 이름으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많은 깨달음을 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