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으로 보는 이순신 ㅣ 교과서에 나오는 한국사 인물
김경민 지음, 송진욱 그림, 황은희 감수 / 계림북스 / 201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822/pimg_7355521371722740.jpg)
그림으로 보는 한국사/ 세계사/ 그리스로마신화 시리즈를 지나
그림으로 보는 이순신 편!
그림으로 보는 시리즈는 한국사를 어렵게 느끼는 아이들에게
친근감이 들도록 그림은 물론 설명까지 이해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답니다.
아이들이 흥미진진하게 볼 수 있도록 그림을 통한 코믹한 요소는 물론
그림과 글을 통해 역사의 생생함이 느껴지는 그림으로 보는 시리즈!
이번 편은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이순신 장군 편이에요.
많이 알려져있어 아이들이 이름만 들어도 다 알만하지만
과연 아이들이 이순신 장군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을까요?
그런 호기심을 풀어가는 <그림으로 보는 이순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822/pimg_7355521371722741.jpg)
이순신은 1545년 4월 28일 (음력 3월 8일) 한성 건천동에서
태어났다고해요. 건천동은 지금의 서울 중구 인현동인데 지금은
이순신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시로를 따 충무로라고 불린다고해요.
사실 충무로하면 별들의 전쟁? 인 쟁쟁한 영화사나 연에인들이
떠오르기 마련인데 가끔씩 왜 충무로일까? 궁금했던 적이 있었는데
이 책을 보면서 충무로의 명칭을 제대로 알게 되었답니다.
이순신은 어렸을 때부터 전쟁놀이 대장을 도맡아 할 정도로
개구쟁이 기질을 가졌던 것 같아요.
하지만 진짜 무관이 되기 위해서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요.
이순신 업적에 대한 이야기를 몇번 들어본 사람이라면
이순신이 매우 늦은 나이에 무과시험에 통과됐다는 것을
알고 있을거에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822/pimg_7355521371722742.jpg)
임진왜란 조선의 왕은 없고
오직 서애 유성룡과 이순신만 존재했다는 어느 역사학자의
책을 본 적이 있었어요.
그만큼 임진왜란 당시 임금님도 어쩌지 못한 전란 속에서
백성들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이 바로 유성룡과 이순신이었는데요.
이 둘이 어려서 같은 서당에 다녔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었거든요.
이순신의 둘째 형이 유성룡과 친구였다고해요.
어려서 서당을 같이 다녔고 둘이 걸었던 길은 달랐지만
임진왜란이라는 커다란 전란 속에서 함께 같은 뜻으로
의지할 수 있지 않았나 싶어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822/pimg_7355521371722743.jpg)
이순신하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것이 귀선이라고 불리는 거북선인데요.
하지만 거북선보다는 실제 판옥선이라 불리는 배로 전쟁을 치뤘던 것을
알 수 있어요.
판옥선은 2층 구조로 왜적이 쉽게 배 위로 뛰어들기가 어렵고
아래층에서 노를 젓고 위층에서 공격하는 구조로 지어졌는데
바로 그 구조 때문에 화포의 위치가 높아 적의 배를 명충시킬
확률이 높았다고해요.
몇년 전 개봉했던 '명랑'이라는 영화를 같이 봤던 딸아이라서
영화에서 본 것을 토대로 책을 보니 좀 더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822/pimg_7355521371722744.jpg)
<그림으로 보는 이순신>은 이순신 장군의 생애를 한 눈에 볼 수 있는데요.
어린 시절부터 장군이 되기까지, 임진왜란을 겪으며
그가 겪었던 수모와 고통들, 백성들을 향한 마음을 알 수 있답니다.
이순신에 대한 이야기는 영화나 드라마, 책으로도 많이 만나볼 수 있지만
아이와 함께 이 책을 보면서 몰랐던 부분을 저도 많이 알게 되었어요.
엄마인 제가 봐도 너무 재미있어 아이와 함께 보게되는
<그림으로 보는 이순신> 이야기!
그의 활약에 선조까지 시기를 할 정도였다는 이야기는
어렵지 않게 들어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 이순신 장군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많은 논란을 남기기에 충분한 듯해요.
흥미롭게 다가가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던 이순신 이야기!
뒷 장에는 이순신 연표가 들어있어 또 다른 재미를 주고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