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링허우, 사회주의 국가에서 태어나 자본주의를 살아가다
양칭샹 지음, 김태성 옮김 / 미래의창 / 2017년 8월
평점 :
품절


 

 

 

 


슈퍼차이나의 '길 잃은 세대' 바링허우 이야기

이 책을 쓴 학자이자 시인인 '양칭샹'은 1980년생이다. 중국은 10년 단위로 출생한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가 제각기 다른데 1980년대에 태어난 사람들을 '바링허우'라고 일컫는다고 한다. 1980년대 중국은 공산주의 체제였다. 1980년대에 태어난 바링허우들은 공산주의이긴해도 '가정연산승포책임제'가 실행되었기에 실질적으로 공산주의에 대한 큰 체감없이 자랐고 이후 90년대에 이르러서는 공산주의가 붕괴되고 자본주의체제가 들어섰기에 이들의 역사의식 결핍과 개인주의의 팽배는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사회주의 국가에서 태어났지만 자본주의의 현재를 살아가는 기분이란 어떤 것일까? 사실 사회주의지만 변화기를 겪고 있었던 중국 배경을 들여다보면 사회주의의 큰 소용돌이를 직접 체험한 것은 아니지만 자본주의 체제의 진화를 몸소 체험했고 또한 체험해가고 있기에 어떤 큰 틀에 해당하기엔 미온적 세대지만 한편으로 생각하면 바링허우 세대들을 통해 앞으로의 중국을 모색해나가기에는 더 없이 중요한 세대가 아닐까 싶다. 하루하루 그 발전이 너무나 빨라 만만디라는 별명을 가질만큼 느긋했었던 중국인들의 삶이 너무도 급속하게 빠름으로 변해가고 있는 지금, 사회주의 붕괴가 가져온 바링허우들의 자본주의 체험기는 그러하기에 더욱 혹독할 수 밖에 없을 듯하다. 격한 사회주의가 막을 내리고 돈에 맛을 들인 대부분의 사람들의 눈에는 보이는 모든 것이 돈과 연결되기 시작했으며 천정부지로 치솟는 부동산과 경제 발전이라는 눈부신 타이틀 뒤에 자리잡은 산업화의 온갖 폐해의 혹독함을 몸소 체감하고 있는 세대 또한 바링허우이기 때문에 이들이 쏟아내는 문제와 그들의 비역사적, 허무주의는 어쩌면 그런 시대가 가져온 당연한 결과로 보아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다.

책 속에는 각 시대별 문인들의 소설등이 등장하며 각기 시대를 대표하는 문제점들을 통찰력있게 지적하고 있으며 중국 전반적으로 깔려 있는 중국인들의 세태를 볼 수 있어 그저 소설을 읽고 끝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중국 사회를 이끌어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세대적 특징을 분류하는 모습이 꽤 인상깊게 다가왔다.


중국 대지진이 왔을 때 하던 일을 멈추고 봉사에 돌입했던 수 많은 청년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바링허우들의 역사적 비자발성을 고집는 이야기는 이타적인 모습이라기보다는 그저 하나의 현상, 자기만의 합리화, 거울에 비춰지는 듯한 도취등의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에 적잖은 충격을 느꼈고 생각해보면 그것이 전혀 낯설지 않은 이야기이기에 아마 더한 감정을 느끼게 됐던 것 같다. 미디어와 뗄 수 없는 80년과 90년 중국인 세대 이야기는 한국 세대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에 가슴을 짓누르는 무게감으로 다가왔다. 후반부에는 결코 도약할 수 없는 바링허우들이 자본주의 모순에 빠져 힘포기하며 살아가는 모습들이 인터뷰 되어있는 것을 읽을 수 있어 왠지 모를 현실감이 증폭됨을 느낄 수 있는데 비단 이것이 중국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 읽는 내내 마음을 더욱 힘겹게 했던 것 같다. 바링허우 세대의 문제점은 국가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기에 결코 가볍게 보아 넘어가서는 안되는 문제이며 전 세계적으로 낯설지 않은 모습이기에 모든 사람들, 국가적 차원에서 발전적인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