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위의 딸 (양장)
알렉산드르 세르게비치 푸시킨 지음, 이영의 옮김 / 새움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 말라." 푸시킨

아이러니하게도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시킨의 이 유명한 시는 한국에서는 어디서라도 찾을 수 있는 문구로 등장하지만 정작 러시아에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고 한다. 가슴을 요동치게 하는 이 한 문장이 우리나라에서 특히 사랑을 받는 것에 대해 유시민 작가는 나름대로의 해석을 <청춘의 독서>를 통해 이야기 한 바 있다.

"가장 위험한 시인의 가장 위험한 정치소설"

이 한 줄이 내가  <대위의 딸> 에 대한 궁금증을 가졌던 첫 번째 이유였다. 로맨스를 빙자하고 있지만 실존 인물이 거론되는 위험을 무릎쓰면서까지 그가 하고자 했던 이야기는 무엇이었을까?


젊은 시절 미니흐 백작 휘하에서 복무하다 중령으로 퇴역한 안드레이 페트로비치 그리뇨프, 가난한 귀족의 딸 아브도치야 바실리예브나, 그 사이에 태어난 표트르 안드레이치, 부족 할 것 없는 도련님으로서 어린 나이만큼 철이 없고 방만한 삶을 살아가는 그의 짤막한 이야기 뒤로 아버지의 명령에 따라 중앙아시아의 카즈크 거주 지역으로 군에 배치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벨로고로드 요새는 위용 있는 성벽과 보루, 참호가 있는 멋진 기지가 아니라 초라하기 이를 데 없는 전방으로 그 곳의 사령관인 미노노프 대위의 순박한 딸 마샤와 사랑에 빠진 표트르 안드레이치, 어렵게 결혼 결심을 한 두 사람은 야이크 카즈크 족의 반란과 스스로를 황제라고 칭하는 푸가초프의 등장으로 마샤는 부모님을 잃게 되고 두 사람은 포로가 되지만 우연한 기회에 푸가초프에게 베풀었던 선의로 인해 표트르는 마샤와 함께 무사히 목숨을 구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곧이어 반란이 진압되고 그것이 빌미가 되어 표트르는 푸가초프와 내통했다는 혐의로 체포당하게 되고 반역죄를 선고받게 된다. 이에 마샤는 예카테리나 2세에게 청원해 무죄로 방면되어 다시 만난 표트르와 마샤. 실제로 있었던 사건임을 알지 못하고 읽었다면 아마도 극적인 긴장감을 느끼지 못했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하기에 <대위의 딸>이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가 주목받았던 것이 아닐까 싶다. 표트르의 한 여자를 향한 우여곡절의 사랑 이야기로 보일 수 있지만 연애 소설을 가장한 역사 소설이라는 것을 알고 읽는다면 해석이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는게 흥미롭다.

인간적인 고뇌 없이 가볍게 보이는 주인공들과 생각 외로 무겁지 않은 이야기 흐름은 푸가초프의 반란인 역사적 사실을 역설적으로 담아내고 있는데 전제정치에 대한 비판을 담아내고 있으며 푸가초프 반란에 거론되는 인물들이 실명으로 등장한다는 사실은 당시 황제 니콜라이 1세와 검열관이 검열하는 와중에도 그렇게 당당한 비판을 담은 작품을 써내려갔다는데 굉장함을 지닌 작품이다. 반역죄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 역설적인 이야기로 담대함을 담아낸 이야기를 알고 본다면 <대위의 딸>의 작품성에 대해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