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법 지리 - 중학생이 미리 배우는 ㅣ 중학생이 미리 배우는 공부법 1
고경미 외 지음 / 리베르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어렸을 땐 지리를 왜 배울까? 의아하면서도 재미없었던 과목중에 하나가 바로 '지리'이지 않았나 싶다.
중학교, 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이제 지리에 대해서 관심을 가질 일은 없겠지!하면서 신나게 책을 덮었던 기억이 있는데 살면서 지리의 중요성을 느끼게 된다. 뉴스거리로 등장하는 세계 곳곳의 이야기는 지리적인 상황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진작에 알았다면 좀 더 재미있고 즐겁게 지리 공부를 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러하기에 이런 중요한 부분을 아이가 알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기를 바라게 되면서 어렵게 다가오는 지리를 아이가 어렵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는 책에 대해 자연이 관심이 가지게 됐던 것 같다.
<중학생이 미리 배우는 공부법 지리> 는 현직 선생님이 들려주는 교과서 학습 비법이 들어가 있다. 책 자체가 큼지막해서 사진이나 지도를 크게 접할 수 있다는 부분이 제일 마음에 들었던 부분이다. 작년 어느 강의에서 강연자가 중학교 시험에 지도의 빈칸이 어딘지 적는 것이 출제된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깜짝 놀랐던 적이 있는데 세계 곳곳에 많은 나라가 존재하다보니 우리나라 근처에 있는 나라의 정확한 지리에 대해서도 헷갈릴 때가 있곤하는데 첫장은 세계 지도를 통해 다양한 특색을 소개하고 있어 흥미롭게 볼 수 있고 면적이 넓은 나라는 인구 분포와 지형 지도 총생산을 색깔로 표시한 것, SNS 이용률 분포 지도까지 있어 한 나라안에서도 산업발달이 이뤄지고 대규모 인구 분포에 따른 SNS 이용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세계자연유산을 통해 세계 곳곳의 자연유산은 물론 우리나라의 자연유산까지 알 수 있고 문화와 기후, 자원에 대해 볼 수 있으며 자원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과 갈등을 통해 지리적인 특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다. 사실 지리를 알아야 할 중요성이 국가간 첨예한 이권다툼 속에도 녹아있다는 것을 볼 때 간단히 생각해서는 안되는 부분이기도 한데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지리적인 영향으로 일본의 침략과 6.25 전쟁, 요즘 중국과 갈등을 겪고 있는 사드문제까지, 아이들이 지리를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되는 사회 문제들을 많이 접할 수 있어 그것들을 다채롭게 접하며 생각을 이끌어주기에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