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 뇌과학, 착한 사람의 본심을 말하다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1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주의와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한 지금, 콩 한쪽도 나눠먹어야 한다는 옛 어른들의 말씀은 온데간데 없고 내 아이, 내 가족, 우리 나라라는 집단적 개인주의 앞에서 화두로 떠오르는 것이 이타주의일 것이다. 세상은 점점 더 각박해지고 인간 사이는 획일화되고 있다. 이 얼마나 서글픈 이야기인가..... 그 속에서도 많이 가졌건, 많이 가지지 못했건 자신이 가진 것을 타인에게 기꺼이 즐거운 마음으로 내어주는 사람들의 이야기 보면서 아직은 세상이 덜 각박하구나란 마음이 들면서 훈훈해지곤한다. 비록 물질적으로 도와주는 것을 떠나 물질이 아니더라도 타인을 도와주는 마음이 모이면 세상이 훨씬 따뜻해지리라는 것은 주변에서 일어나는 선행들만 보아도 가슴이 동하는 것을 보면서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러한 세상에서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는 '이타주의'에 대해 흥미로운 이야기로 다가오는 책이 있다. 바로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이다.
이타주의자들은 뇌구조가 뭔가 다른것일까? 싶은데 그런 궁금증을 가지기 전에 우리는 책에서 적지않은 문장을 만나게 되는데 그것은 타인을 도와주었을 때 분비되는 행복물질 지수가 높다는 이야기이다. 언젠가 그런 내용의 책을 보면서 실제로 경험을 되짚어보니 지하철 계단에서 힘들어하시는 어르신들의 물건을 들어주었을 때 남에게 보여줘서가 아니라 그저 나 혼자만의 뿌듯함에 기분이 좋았던 기분은 같은 상황은 아니더라도 비슷한 경험을 해봤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런 경험을 여러번 한 사람일수록 누군가를 도와주는 것에 큰 행복을 느끼게되고 그로 인해 누군가를 도와주는 것에 매료되어진다는 이야기를 보면서 고개를 끄덕였었는데 그렇게만 받아들였던 이야를 넘어 이타주의자들의 뇌구조라는 좀 더 깊숙한 이야기를 대할 수 있다는 것은 흥미롭게 다가왔다.
이타주의자들의 뇌구조에 들어가기에 앞서 접근 행동과 회피 행동에 비교적 특화된 부위인 '측핵'과 '편도체'에 대해 나오는데 '쾌감 충추'라고도 불리우는 '측핵'은 다양한 종류의 보상에 반응하며 주로 보상을 얻기 위한 행동을 강화하고 보상 추구 행동을 학습하는데 관여하며 '편도체'는 불쾌한 자극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위험 회피 행동을 학습하는데 관여한다. 여기에 '복내측 전전두피질'은 '측핵'과 '편도체'의 활동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방법을 터득하며 얻는 중요한 경험의 흔적들이 남겨지는 곳으로 인생을 살아오며 경험한 상황들을 현명하게 해결한 귀중한 지혜들이 녹아 있는 곳이다. '이타주의자'라는 단어를 객관적인 뇌구조를 통해 나타나는 '인정욕구'등의 이야기로 바라보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던 따뜻한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게 느껴지긴하지만 과학적인 시도로 바라보는 뇌구조와의 연관성을 살펴볼 수 있어 흥미로웠다. 여러 심리 실험들과 사건, 사고등의 이야기가 나와 이해를 돕고 있고 그저 착하고 마음이 넓은 사람이라는 시각을 넘어 다양한 관점으로 다가가 바라보게 되는 점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