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시간의 한국사 여행 3 - 들불처럼 일어나 새 날을 열다, 개항기에서 현대까지 36시간의 한국사 여행 3
김정남 지음 / 노느매기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과서의 정석이 담긴 현직 교사의 생생한 한국사 가이드 <36시간의 한국사 여행 3>


이번편은 개항기에서 현대까지로 제국주의의 침략으로 인한 개항과 그로 인한 갈등과 반발로부터 시작하고 있는데요. 서양문물에 대한 뒤늦은 개방으로 인해 서구 열강들에게 침략을 당했다는 일반적인 견해로 인해 흥선대원군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저 또한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 이전에 백성들을 위해 내렸던 결정들을 보면서 그동안 흥선대원군에 대해 너무 왜곡된 생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어요. 최익현도 마찬가지로 학창시절 어떤 사건의 한가지만을 놓고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여 이분법적으로 나라에 해가 되었던 사람, 나라의 발전에 기여했던 사람이라는 잣대로 생각해 오랫동안 그 뜻을 왜곡했었던 분 중에 한분이셨는데 요즘은 학창 시절 배웠던 왜곡된 기억으로 남았던 역사가 꽤 많았기에 어른이 되어서도 역사는 꾸준히 접해야된다는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되요. 그래서 아이와 역사 관한 이야기를 할 때 제가 알고 있었던 한가지 생각만을 말하는 것이 굉장히 위험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곤 한답니다. 사건에 치우쳐서 그것만 집중해서 기억했기 때문에 왜 그런 사건이 일어났는지, 그 배경에 대해 깊이있는 생각을 하지 않았기에 일어났던 일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어떠한 사건이 일어나게 된 배경과 함께 그 사건으로 인해 어떤 전개과정이 있었는지에 대해 잘 나와있어 이해하기가 수월했어요. 제가 사는 인천이 일본에 의해 개항되었던 3곳 중 한곳이었던지라 이번편에 실려있는 이야기가 더욱 낯설지 않게 다가왔는지도 모르겠어요. 작년 말에 역사공부를 하면서 다루었던 것이 개항기도 포함되어 있어서 개항장 근처의 18은행, 58 은행과 홍례문, 제물포구락부와 청일조계지 사이의 건축 양식등 아픈 우리의 역사가 그대로 남아있는 곳을 체험하기도하였던지라 일본이 본인들의 편리성에 의해 강제로 지은 최신식 건물들이 떠올라 마음이 아프기도 하였어요. 그 이후로 현대편으로 넘어오면서 6.25 전쟁 후 이념과 사상으로 갈등을 빚었던 내용과 이승만 정권 이후 역사 이야기들이 실려 있는데요. 가장 최근의 이야기지만 그 또한 자국의 독재에 의해 감춰지고 밖으로 드러나지 못했던 많은 이야기들을 만날 수 있지만 그것을 마주하는 것 또한 일본의 지배를 받았던 시절만큼 충격스럽고 경악스러운 부분이 많아 실망과 분노의 감정이 마음속에서 사그라지지 않았는데 그러하기에 같은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어른들이, 아이들이 역사적인 사건에 대해 왜곡됨 없이 올바른 이해를 해야된다고 생각해요. 그런 인식을 가지는데 <36시간의 한국사 여행>은 감정적인 소요 없이 덤덤하게 사실적으로 서술하고 있기에 감정의 지배를 받아 분노하기보다는 그런 역사를 딛고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기 위해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할 방향을 가르쳐주고 있다는 느낌을 글에서 많이 받았습니다. 교과서를 보고 있는듯해서 낯설지 않은 <36시간의 한국사여행 3> 개항기에서 현대까지의 역사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 될거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