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야 다오스타
정선엽 지음 / 노르웨이숲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십자군 전쟁에 관한 책들을 접해보긴 했지만 우리나라 사람이 십자군
전쟁에 대한
소설을
썼다기에 흥미롭게
다가왔던 <비야 다오스타>
제목만 보면 무슨 내용인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지만
역사적 이야기를 바탕으로 쓰여진 이야기를 어떻게 끌고 갈지 궁금함이 들었던 소설임은
분명하다.
비야 다오스타의 아버지 비에리 신부는 성직자이다. 그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결혼할 당시만 해도 결혼을 강력히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2년 후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가 사제의 결혼을 금지하면서 비에리
신부와 가족들은 뿔뿔히 흩어져 피하기에 이른다. 신부라고하면 당연히 결혼하지 않는 것이 원칙인걸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론 그렇지 않았던 모양이다.
우리나라 불교에서 대처승과 비구승으로 나뉘었던 것처럼 사제들도 그랬던 시절이 있었던가보다. 어찌됐건 단란하고 행복하던 가족들은 갑자기 흩어져
쫓기는 신세가 되어버렸고 비야 다오스타는 수도원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레고리우스 7세를 지나 교황이 된 우르바누스 2세는 십자군 전쟁을
준비하게되고 비야는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게 되면서 종교 전쟁이 주는 의미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하게
된다.
책을 보면서 비야가 마주하며 괴로워했던 문제점들은 십자군
전쟁이 벌어졌던 그 때만이 아니라 아직도 일어나고 있는 종교전쟁을 보면서 종교를 가지지 않은 사람들도 한두번쯤은 생각해보지 않았을까 싶은
내용이었다. 종교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첨예하게 대립된 종교로 인해 무고한 사람들이, 어린아이들이 아무 이유없이 죽어나가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그들이 믿는 것은 신이 아니라 오만이 아닐까란 생각이 종종 들곤했었다. 아마 종교인이 아니기에 그것을 바로보는 견해는 다르지 않을까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들이 믿는 신을 내세워 무고한 많은 사람들을 살상하는 것을 종교 그대로, 신이 주신 의미라고는 전혀 생각되어지지
않는다. 진정으로 신이 있다면 자신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죽는것을 달가워하지는 않았을 것 같다. 끝맺음이 아쉽긴하지만 십자군 전쟁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게되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