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 (일반판)
반디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2월
평점 :
절판


 

 

 

 

 

북한소설이라고해서 신선하게 다가왔었던 <고발> 더불어 우리가 매체로 미처 다 알지 못했던 북한의 실상이 어떠할지에 대한 궁금증도 일었던 작품이었다. 분단된지 너무 오래되었고 사실상 내 부모 세대와는 달리 나의 세대에서 북한에 대한 이미지는 매체로 보거나 듣는 이야기가 전부일 뿐이고 학교다닐 때 학습된 이미지와 연결된 통일에 대한 생각 또한 주체적이라기보다 일시적인 감상에 지나지 않았었다. 누군가 남과 북이 통일이 되었으면 좋겠냐고 물어본다면 과연 사람들은 무엇이라 답할까? 대부분 무어라 대답할지 알겠기에 물어보지 않는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남과 북은 장착하고 있는 사고방식조차 애초에 다르기에 통일에 된다면....? 이란 생각을 하다보면 끝도 없는 답답함으로 이어지곤하는데 나는 부모님 태생이 이북이기에 어렸을 때부터 북한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자랐던 탓에 부모님 이야기를 듣고 잠자리에 들때면 항상 그런 생각에 젖어들곤 했었던 것 같다. 가족을 두고 내려왔던 황해도 아버지, 갓난쟁이 때 피난내려와 평안도 부모님 밑에서 자랐던 어머니... 아버지는 연세가 더 많아 북에 대한 기억과 이야기를 더 많이 들려주시곤 했었는데 살아 생전 늦더위 아버지 생신엔 통일전망대에 가서 하염없이 강건너를 바라보곤 했었던 뒷모습이 기억에 많이 남는다. 그런 기억들로 <고발> 이란 북에 대한 소설의 궁금증이 다르게 다가왔었던 것일 수도 있다. 대한민국의 돌아가는 형세도 남을 걱정할 만한 사정이 아니기에 평소 북한까지 생각할 여유가 없던 탓에 그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솔직히 잘 모른다. 그저 자유와 굶어죽지 않으려 죽음을 무릎쓰고 많은 이들이 탈북한다는 것 외에는 거의 아는 것이 없다. 그러다 이 책을 펼쳤을 땐 시대를 타고 외치던 인민조국의 평화가 무색할 정도로 억압된 생활을 엿보는 것이었다. 부와 생산력의 균등한 배분과 인권적 평등이라는 그 시대 혁명과도 같은 그것들은 사람들을 현혹시켰고 그 안에서 배제되면 또 다른 이름의 주홍글씨가 되어 자신은 물론 자식들에게도 세습되어 평생을 따라다니며 족쇄가 채워지는 것을 보면서 사상과 이념으로 남과 북이 끊어진 것이 대체 어떤 의미가 있었던 것일까 곱씹어보게 되었다. 당의 이름이라는 명분으로 서로가 서로를 믿지 못하며 출신성분이 운운되어지는 우리가 알지 못했던 그곳의 생활을 보면서 애초에 그것을 이룩하려고 그렇게나 많은 사상자를 내고 많은 이들의 가슴에 피를 토하게 했던 그들이 과연 원하던 세상이 그것이었을까 묻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